[칼럼] 폐렴, 단순 감기인 줄 알았다가 사망에 이르는 치명적 질환

좋은삼선병원 호흡기내과 윤늘봄 과장

▲ 좋은삼선병원 호흡기내과 윤늘봄 과장

날씨가 차갑고 건조해지면 호흡기 건강이 위협받기 쉽다. 이 시기 특히 주의해야 할 질환 중 하나가 바로 폐렴이다. 기침이 심하고 발열, 가래 등이 있으면 쉽게 감기로 오인하기 쉽기 때문이다.

폐렴은 감기와 초기 증상이 비슷해 가볍게 넘기는 경우가 많아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면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다. 겨울철에는 폐렴 발생률이 높아지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폐는 폐포라 불리는 작은 공기주머니가 모여 이뤄진다. 폐포에 염증이 일어나 생기는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 다양한 병원균이 호흡기를 통해 폐에 침투해 염증과 경화를 일으켜 흔히 급성 감염성 질환으로 불린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기침 가래와 같은 호흡기 증상뿐만 아니라 고열 오한 식욕저하 가슴통증과 같은 전신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때론 호흡 곤란, 의식 저하도 발생할 수 있다. 진단을 위해선 흉부 X레이 또는 CT, 객담 배양 검사, 혈액 검사, 소변 항원 검사 등과 함께 임상 증상과 과거 병력 청취를 통해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고령자나 만성질환자의 경우 전형적인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단순한 기력 저하나 식욕 부진으로만 나타나 진료 시기를 놓치기 쉽다. 이러한 경우 폐렴이 빠르게 악화돼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각별한 경계가 필요하다.

치료의 핵심은 조기 진단과 신속한 항생제 또는 항바이러스제 치료이다. 원인균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검사 결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초기에는 경험적 항생제를 투여하고 이후 검사 결과에 따라 치료 약제를 조정한다.

폐렴의 중증도와 환자의 전신 상태에 따라 외래 치료 또는 입원 치료를 결정하며, 치료 이후에도 재발 방지를 위한 충분한 회복 관리가 중요하다.

폐렴은 고령자나 만성질환자, 면역저하자의 경우 감염 시 중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 패혈증, 호흡부전, 다발성 장기부전 등으로 이어져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독감 코로나 등의 바이러스 감염 후 세균에 의한 2차 감염으로 중증 폐렴 등으로 악화되기 쉽다. 실제 2009년 신종플루, 2020년 코로나19 때 실제 주 사망원인은 폐렴 합병증이었다. 그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예방이 가장 효과적인 대응책이다. 예방접종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폐렴구균백신 접종은 폐렴, 중이염, 수막염 등 침습성 감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자 및 고위험군에게 권장된다. 최근에는 21가 폐렴구균백신이 국내에 도입돼 더 넓은 혈청형을 커버하며 예방효과를 높이고 있다.

RSV(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는 주로 가을에서 겨울에 유행하는 호흡기 바이러스로 영유아와 60세 이상 고령자에게 폐렴, 기관지염 등 중증 호흡기 질환을 유발한다. RSV백신을 통한 예방접종을 권장한다. 폐렴은 1년 중 11, 12월에 가장 환자가 많은, 흔하지만 결코 가벼운 질환이 아니다. 예방 접종과 조기 진료로 건강한 겨울을 보내기 바란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예숙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