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선한 바람과 청명한 하늘, 캠핑의 계절이 돌아왔다. 캠핑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는 바로 숯불에 구워 먹는 직화구이일 것이다. 지글지글 고기 굽는 소리와 함께 모닥불에 둘러앉아 이야기 나누는 시간은 캠핑의 낭만을 더해준다.
하지만 이 맛있는 직화구이가 우리 건강에는 치명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사실. 숯불에 직접 구운 고기는 발암 물질을 생성해 우리 몸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고기를 숯불에 직접 구울 때, 고기의 지방이 숯불에 떨어지면서 불완전 연소된다. 이때 발생하는 물질이 바로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이다. PAH는 벤조피렌(Benzopyrene)을 비롯한 여러 유해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1군 발암물질로 지정했을 정도로 인체에 매우 해롭다.
PAH는 주로 숯불의 그을음과 연기를 통해 음식에 흡착되는데, 숯불에 가까울수록, 불꽃이 강할수록 더 많은 양이 생성된다. 특히 고기가 타서 검게 변한 부분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겉이 탄 고기는 먹지 않는 것이 좋다.
고기나 생선을 고온에서 조리할 때 생성되는 또 다른 발암 물질은 헤테로사이클릭아민(HCA)이다. 특히 단백질이 풍부한 육류를 150℃ 이상의 고온에서 조리하면 아미노산과 크레아틴이 반응하여 HCA가 생성된다.
직화구이는 숯불의 고온으로 인해 HCA가 다량 생성될 수 있는 환경이다. HCA는 대장암, 유방암, 췌장암 등 다양한 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고 캠핑의 즐거움을 포기할 필요는 없다. 몇 가지 방법을 통해 건강하게 직화구이를 즐길 수 있다. 고기가 숯불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고, 자주 뒤집어 타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직화구이용 불판을 사용하면 고기에 직접 닿는 불꽃을 줄여 유해 물질 생성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양파, 마늘, 상추 등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채소를 함께 섭취하면 발암 물질의 흡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고기를 굽기 전 허브나 식초 등 산성 성분에 재워두면 유해 물질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캠핑의 낭만과 맛을 포기할 수 없다면, 건강까지 생각하는 현명한 캠핑객이 되어보는 건 어떨까? 안전하게 조리하고 맛있게 즐기며 소중한 사람들과의 행복한 시간을 만끽하시길 바란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예숙 기자 다른기사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