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견’은 50대에만 올까?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흔히 50대에 많이 발생한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오십견은 의학적으로 유착성 관절낭염이라고 불린다. 하지만 최근에는 20~30대 젊은 층에서도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늘면서 오십견이 더 이상 중장년층만의 질환이 아니게 됐다.

오십견은 어깨 관절을 감싸고 있는 주머니인 ‘관절낭’이 염증으로 인해 굳어지면서 어깨 움직임이 제한되고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먼저 50대 이후에는 노화로 인해 어깨 관절 주변의 조직이 약해지면서 염증이 생기기 쉬워진다. 무리한 운동이나 반복적인 어깨 사용으로 인해 어깨 관절에 미세한 손상이 누적돼 염증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팔을 다쳐 깁스를 하거나, 오랫동안 팔을 쓰지 않고 고정해 두면 관절이 굳어지면서 오십견이 발생할 수 있고, 당뇨병, 갑상선 질환 등 일부 만성 질환 환자에게서 오십견 발병률이 높게 나타난다.

오십견은 초기에는 어깨가 뻐근하고 무거운 느낌이 들다가, 점차 통증이 심해지면서 여러 증상이 나타난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팔을 들기 어려운 것이다. 팔을 위로 올리거나 뒤로 젖히는 동작이 어려워진다. 옷을 입거나 머리를 빗는 등 간단한 일상 동작도 힘들어지고, 어깨 통증이 팔꿈치나 손목까지 내려오는 경우도 있다. 특히 밤에 통증이 심해져 잠을 설치는 경우가 많다.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오십견은 자연적으로 낫는다고 생각해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대로 두면 어깨가 완전히 굳어 움직일 수 없게 되거나, 만성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오십견을 예방하고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평소 꾸준한 스트레칭과 생활 습관 개선이 중요하다. 하루 10분씩 꾸준히 어깨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은데, 팔을 앞으로 뻗어 올리거나, 벽을 짚고 몸을 돌리는 동작 등이 도움된다.

통증 부위에 따뜻한 수건이나 찜질팩을 이용해 혈액 순환을 돕고 근육을 이완시켜 주는 것도 좋다. 또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어깨가 앞으로 굽지 않도록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통증이 심하거나 팔을 움직이는 데 제한이 있다면, 병원을 찾아 전문의와 상담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현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