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자의 타당] 신장 기능 저하된 ‘당뇨병성 신증’, 자각 증상 있을까?

당뇨병 타파를 위한 이기자의 제안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노폐물을 제거하고 수분 균형을 포함한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장은 당뇨로 인해 기능이 저하되는 등 다양한 질환이 발생 될 수 있다.

당뇨병이 오랜 기간 지속되면 신체의 작은 혈관들이 손상된다. 신장의 혈관이 손상되는 경우 혈액 여과를 담당하고 있는 사구체가 손상되면서 단백뇨가 나타나고, 이로 인해 신장 기능이 저하되는데 이를 당뇨병성 신증이라 한다.

당뇨병성 신증은 고혈당이 나타나면서 시작돼 매우 서서히 진행된다. 이에 어느 정도 진행된 경우에도 환자 스스로는 특별한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많이 진행된 이후에는 소변검사상 단백뇨가 심하게 검출, 얼굴, 손, 눈, 발목 부위가 붓거나 밤에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당뇨병성 신증이 악화돼 신장이 체내 노폐물을 걸러내는 기능을 거의 상실한 말기신부전으로 진행된 경우, 신기능의 저하에 따라 혈액 중에 노폐물인 요소질소, 크레아티닌의 수치가 올라간다.

이후 증상은 더욱 심해져 구역과 구토, 식욕상실, 허약감, 피로감, 가려움증, 근육경련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 고혈압은 더 악화돼 조절하기가 어렵고, 혈색소가 감소해 빈혈이 동반되기도 한다.

당뇨병성 신증이 발생된 경우 일차적으로 미세알부민뇨에 대한 예방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만일 미세알부민뇨가 발견되면 뚜렷한 단백뇨로 진행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차단해야 하며, 최종적으로 단백뇨가 발견되면 신부전증으로의 진행 과정을 지연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와 함께 혈당과 혈압, 단백질 섭취 조절이 중요하다. 단백질은 체중 1kg당 하루 0.6~0.8g으로 섭취를 제한, 단백뇨가 감소하고 사구체 과여과가 감소하도록 한다. 이는 혈당과 혈압 조절과는 독립적인 인자로 작용하며, 장기적으로 신장의 손상 진행을 감소시킨다.

질환 자체보다 합병증이 더욱 위험한 당뇨병. 당뇨인들의 당뇨 합병증에 대한 예방과 조기 치료는 건강 유지에 기본이 된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현이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