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제공=용인세브란스병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이 유전체 분석 전문 기업 지니너스와 협력해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 구현을 위한 유전체 연구실을 개소하고 지난 7일 개소식을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는 유전
▲ 사진제공=보건복지부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은 국제 어린이 안전 민간기구 세이프키즈코리아와 협업해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7일까지 ‘2022년 찾아가는 손상 예방 안전 캠페인’을 실시했다고 8일 밝혔다. 질병관리청의 제11차 국가손상종합통계에 따르면, 2019년 교통사고
▲ 사진제공=GC녹십자 GC녹십자 산하 3개 계열사 및 GC녹십자의료재단은 국내 유일 플래티넘 스폰서로 공동 참가한 ‘제24회 세계임상화학회(IFCC Seoul 2022)’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8일 밝혔다.GC녹십자의료재단과 GC녹십자MS, GC셀, GC지
※헬스위크에서는 건강과 관련한 독자들의 궁금증을 풀어드리고 있습니다. 의료 각 분야 전문가들의 명쾌한 답을 듣고자 하시는 독자께서는 ‘기사제보’ 코너를 통해 궁금증을 남겨주세요!☞기사제보 바로가기▲ 사진=독자 제공 Q. 안녕하세요. 저는 사진과 같이 허벅지에
※전문분야: 주사, 여드름, 색소질환, 흉터클리닉, 소아피부질환, 두드러기▲조선대학교병원 피부과 조교수▲前 조선대학교병원 피부과 전임의▲조선대학교병원 전문의 취득▲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졸업▲대한피부과학회 호남지회 간행이사▲前 대한피부과학회 호남지회 총무이사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피부과에 무좀 환자가 제일 많이 찾는다는 장마철 한가운데에 서 있다. 무좀은 피부에 피부 사상균인 진균이 감염돼서 생기는 질환인데, 특히 무좀균은 덥고 습한 여름철 잘 번식한다. 무좀균은 고온다습한 환경을 좋아한다. 발에 무좀이 많이 생기는 이유
※전문분야: 망막, 백내장▲김안과병원 망막센터 전문의▲前 푸른안과의원 원장▲순천향대학교병원 안과전공의 수료▲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석사▲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김안과병원 박새미 전문의 급격한 시력저하와 시야 흐림 증상이 나타나 심각한 안구건조증 때문일 것으로 생각하고 안과를 찾은 18세 A군은 백내장이라는 청천벽력 같은 진단을 받았다. A군은 아토피 병력이 있으며, 백내장이 수술을 받아야 할 정도로 진행된 상태였다.백내장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병원성 대장균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 육류나 달걀을 취급한 후 반드시 세정제로 손을 꼼꼼히 씻어야 한다.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음식점과 가정 등에서 생활 속 실천이 중요하다. 특히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며 더욱 철저
▲ 사진제공=JW신약 JW신약은 복합 소화기 약제 ‘베스티콘’을 출시하고 본격적인 마케팅 활동에 돌입했다고 8일 밝혔다.베스티콘은 진경제 성분 알베린시트르산염과 가스제거제 성분 시메티콘이 주성분인 복합 소화기 약제다. 위장관계 경련의 진경, 장내 가스 제거,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서울 관악구의 한 초등학교에 다니는 연아(가명·9세)의 가방에는 항상 사탕과 젤리가 들어 있다. 연아는 친구들에게 “학교에 군것질거리를 가져오면 안돼”, “넌 군것질을 좋아하는 구나”, “같이 나눠 먹자”는 말들을 종종 듣지만, 연아에
※전문분야: 견주관절 및 슬관절 관절경, 인공관절 치환술(견관절/슬관절/고관절), 스포츠 외상(견관절/슬관절/고관절)▲세란병원 정형외과 과장▲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견주관절 임상교수 (인공관절 및 관절경)▲가톨릭대학교 중앙의료원 레지던트▲가톨릭대학교 중앙의료원 인턴수
▲ 세란병원 정형외과 박기범 과장 빗길에 발목을 접질려 병원을 찾는 이들이 많은 요즘이다. 발목이 약한 이들은 평소 부상이 잦아 대수롭지 않게 여겨, 굳이 병원을 찾지 않는 경우가 많다. 과연 발목 염좌는 자가 관리만으로 호전될 수 있을까? 세란병원 정형외과
▲ 강남차병원 조주영 교수, 차 종합연구원 이지윤 교수 차 의과학대학교는 강남차병원 소화기병센터 조주영 교수와 차 종합연구원 수석연구원인 이지윤 교수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이하 과총)가 수여하는 ‘제32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허리둘레 못지않게 목둘레도 심혈관 질환과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을 알려주는 예측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목둘레가 남성 38cm 이상, 여성은 33cm 이상이면 대사증후군 위험이 2배 이상 높았다. 명지병원 가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