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불면증은 어떤 증상을 말하나?
A. 불면증은 단순히 잠들기 어려운 증상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밤에 쉽게 잠들지 못하거나, 자다가 자주 깨거나, 혹은 새벽에 너무 일찍 일어나 다시 잠들지 못하는 경우까지 모두 불면증에 포함된다. 이러한 수면 문제는 낮 동안의 피로, 집중력 저하, 두통, 짜증 등을 유발해 일상생활과 대인관계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Q. 불면증에 더 취약한 사람이 있나?
A. 그렇다. 여성 노인에게 불면증이 더 자주 나타난다. 여성은 갱년기 호르몬 변화, 스트레스, 가족 돌봄 부담 등으로 인해 불면증 위험이 높아진다. 노인의 경우, 국내 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의 3분의 1 이상이 불면 증상을 겪는다고 알려져 있다.
Q. 불면증은 왜 생기는 건가?
A. 스트레스, 불규칙한 생활습관, 음주, 흡연, 카페인 섭취 등이 주된 원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하지불안증후군, 수면무호흡증, 렘수면행동장애 같은 다른 수면 질환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불면증이 단독으로 나타나기보다는 다른 질환과 동반될 때 치료가 늦어지고 만성화될 위험이 크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Q. 수면제를 복용하는 것이 불면증의 해결책이 될 수 있을까?
A. 수면제는 단기적인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장기간 복용하면 의존성 위험이 매우 높다. 불면증 치료의 핵심은 약물이 아닌 인지행동치료이다. 인지행동치료는 수면 습관을 교정하고 수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해 근본적인 회복을 돕는 치료법이다.
Q. 인지행동치료는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인가?
A. 인지행동치료에는 어려 방법이 포함된다. 먼저 수면위생법으로 규칙적인 기상 시간을 지키고 카페인 섭취를 제한하며 자기 전 전자기기 사용을 자제한다. 다음으로 자극조절요법을 통해 침대를 잠을 자는 용도로만 사용하게 한다. 수면제한법은 누워 있는 시간을 의도적으로 줄여 수면 욕구를 강화하고, 이완훈련법은 호흡 및 근육 이완을 통해 몸과 마음의 긴장을 풀어준다.
Q. 불면증을 극복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A. 불면증 환자의 절반 이상은 만성 불면증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진단과 생활 습관 교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잠에 대한 과도한 집착이나 불안은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전문가와 상담해 자신의 불면증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체계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불면증 극복의 가장 핵심적인 열쇠이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예숙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