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여름, 음식물 관리에 소홀했다간 식중독에 걸리기 쉽다. 단순 배탈로 생각하고 넘겼다간 큰코다칠 수 있는 식중독, 과연 어떻게 얘방하고 대처해야 할까?
식중독은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온 세균, 바이러스, 독소 등이 일으키는 감염성 질환이다. 대표적인 증상은 설사, 복통, 구토, 발열, 근육통 등으로, 보통 감염 후 6~48시간 이내에 나타난다. 대부분의 경우 며칠 내에 자연스럽게 회복되지만, 증상이 심하거나 어린아이, 노인, 기저질환자의 경우 탈수와 같은 합병증에 취약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여름철에는 병원성 대장균, 살모넬라, 황색포도상구균, 장염비브리오균 등이 주로 문제를 일으킨다. 덜 익힌 육류나 오염된 채소, 달걀, 상온에 방치된 음식, 그리고 해산물 등이 이들 균의 주요 감염원이다.
만약 식중독 증상이 나타났다면 가장 중요한 것은 수분 보충이다. 끓여서 식힌 보리차나 이온음료 등으로 손실된 전해질을 보충해야 한다. 위장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죽이나 미음 같은 부드러운 음식을 섭취하는 것도 좋다. 반면 기름진 음식이나 유제품, 커피 등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니 피해야 한다.
식중독 증상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지사제를 복용하는 것도 위험할 수 있다. 지사제를 과도하게 복용하면 체내의 균과 독소 배출이 지연돼 오히려 회복이 늦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의사의 판단하에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기본은 개인위생과 음식 보관이다. 손에 묻은 세균은 2시간 이상 생존이 가능해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을 씻는 것만으로도 식중독의 70%를 예방할 수 있다. 조리된 음식은 가급적 빨리 섭취하고, 상온에 오래 방치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살모넬라균은 열에 약하기 때문에 75도 이상에서 1분 이상 조리하면 대부분 사멸된다. 도마와 칼은 용도에 따라 분리 사용해 교차 오염을 막아야 한다.
식중독은 때때로 전염성을 가지기도 한다. 특히 노로바이러스처럼 바이러스성 식중독의 경우, 환자 대변이나 구토물에서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어 가족 간 동시 감염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럴 땐 같은 화장실을 사용한 뒤 철저한 손 씻기와 함께 수건 따로 쓰기, 음식 공유 금지 등의 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필요에 따라선 격리 조치도 고려해야 한다.
만약 피가 섞인 설사르르 하거나 고열, 의식 변화 등의 심각한 증상이 있거나 24시간이 지나도 호전되지 않는다면 병원을 찾아야 한다. 어린이나 노인, 기저질환자 등은 탈수에 취약하기 때문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여름철 건강을 위협하는 식중독, 올바른 예방 수칙으로 안전하고 시원한 여름을 보낼 수 있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훈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