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대병원 대장항문외과 박지원 교수 최근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대장암은 국내에서 네 번째로 많이 발생했지만, 동시에 5년·10년 상대 생존율도 각각 74.3%, 73.9%로 높았다. 이처럼 대장암은 발병 위험성과 완치 가능성이 모두 높은 ‘두 얼굴’의 암
▲바른길산부인과의원 대표원장▲산부인과 전문의▲가톨릭의대 산부인과 의학박사▲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산부인과 외래교수▲PRO HIFU 국제교육센터 센터장▲청양의료원 산부인과 과장▲리젠성형외과 여성성형센터 원장▲강남베드로병원 산부인과 하이푸센터 원장▲KLMG 강남 하이푸센터
▲ 출처=게티이미지뱅크출산 후 요실금으로 고충을 겪는 여성들이 많다. 보통 일시적인 증상으로 인식해 가볍게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여성은 출산 시 요도와 방광을 지지하는 골반저 근육이 약해져 요실금이 잘 생긴다. 물론 출산 후 골반 근육이 회복되면 요실금이
▲ 사진제공=대웅제약 대웅제약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자체 개발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의 양성교근비대 적응증 품목허가승인신청서(NDA)를 제출했다고 21일 밝혔다.이번 제출은 양성교근비대증(사각턱) 개선이 필요한 성인 1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3상 임상시
▲ 여자인한의원 이현숙 대표원장“저는 열, 땀도 없고 갱년기 없이 편하게 넘어갔어요.”과연 그럴까? 흔히 갱년기에는 훅 달아오르는 열감을 생각한다. 따라서 열감이 없으면 갱년기가 아니라는 생각을 한다. 하지만 증상 없이 지나가는 갱년기도 갱년기이며 반드시 관리해 줘야
▲한양대학교병원 김봉영 교수 한양대학교병원 감염내과 김봉영 교수가 지난 14일 ‘2022 대한항균요법학회·대한감염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젊은 연구자상(학술상)’을 수상했다. ‘젊은 연구자상’은 대한항균요법학회에서 감염학 분야를 전공한 젊은 연구자에게 학술연구 활동을
※전문분야: 감염질환, HIV/AIDS, 다제내성균, 성인예방접종, 여행의학▲한양대학교병원 감염내과 부교수▲한양대학교대학원 의학 박사▲을지대학교병원 감염내과 조교수▲질병관리본부 역학조사과 국제협력의사▲KOICA(페루) 국제협력의사▲2021 ICIC 2021 우수연제상
▲ (좌측부터) 서울성모병원 최종영 교수, 카톨릭대학교 조미라 교수, 인천성모병원 이순규 교수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 최종영 교수(공동 교신저자), 인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이순규 교수(공동 제1저자) 연구팀이 간이식 환자의 혈액을 이용한 새로운 아바타모델을
▲ 사진제공=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가 코로나19 이후 팬데믹에 대비하기 위한 글로벌 헬스케어 플랫폼 운영에 나선다.고려대학교는 지난 19일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한 반기문재단’과 ‘BKM Global Health Platform(이하 플랫폼)’ 운영을 위한 업무
▲ 사진제공=차병원 성광의료재단 차병원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2년 ICT 기반 외국인환자 사전상담•사후관리 시범운영 사업’ 참여기관으로 선정됐다.차병원은 차바이오텍과 함께 오는 11월 30일까지 몽골 난임 환자를 대상으로 사전 상담과 사후관리를 위한 플랫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어느 날 갑자기 아무 증상도 없이, 혈액검사상 이상소견이 발견돼 진단받는 ‘전립선암(Prostate cancer)’. 전립선은 방광의 아래쪽에 남성에게만 있는 작은 기관으로, 정액을 형성하고 정액을 저장하는 기능을 하는 장기다.최근 국내 전립선암
▲ 오상신경외과 오민철 원장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은 정치, 경제, 사회 등 인류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요즘은 ‘사회적 거리두기’조차 익숙해진 탓에, 혼란스럽기보다는 저마다 적응의 방법을 찾고 시간을 보내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고 있다. 뉴욕타임즈의
▲ 경희대학교치과병원 최병준 교수 구강 내 제일 뒤쪽에 위치해 있는 사랑니의 정확한 명칭은 제3대구치다. 보통 17~18세 전후로 해서 상하, 좌우 총 4개가 나기 시작한다. 사람에 따라 개수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아예 나지 않았거나, 있어도 외부로 노출
▲ 사진제공=경기도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경기도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분당서울대병원 위탁운영)은 20일 장애인의 날을 맞이하여 비대면 운동 챌린지를 시행했다.장애인들은 신체기능을 회복하거나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재활치료 및 운동 등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
※전문분야: 로봇수술, 방광암, 전립선암, 신우요관암, 혈뇨, 결석, 요로감염▲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비뇨의학과 교수▲중앙대학교 의학대학원 석사▲성균관대학교 의학대학원 박사▲비뇨기종양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국책과제 연구책임자▲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중앙보훈병원 전문의▲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