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제공=JW중외제약 JW중외제약은 A형 혈우병 치료제 ‘헴리브라(성분명 에미시주맙)’의 경증 및 중등도 환자 대상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한 임상 3상 결과가 국제학술지 ‘란셋 헤마톨로지 2023(THE LANCET Hematology 2023)’ 온라인판에
산란기 직전인 3월에 제맛을 느낄 수 있는 주꾸미는 볶음, 샤브샤브, 숙회 등 다양한 요리로 활용된다. 비슷한 종류의 낙지와 문어, 오징어에 비해 크기는 작지만, 알찬 효능을 자랑하는 주꾸미의 4색 매력을 알아보자.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정상 체중이나 마른 몸매임에도 비만이 될 수 있다. 바로 마른 비만이다. 마른 비만은 노인층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지만, 반복적인 저칼로리 다이어트나 결식 및 폭식, 잘못된 식습관, 운동부족 등으로 젊은 층에서도 마른 비만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 사진제공=보라매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호흡기내과 이현우 교수와 영상의학과 진광남 교수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광주과학기술원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AI 모델과 임상 변수를 기반으로, CXR을 활용해 ‘코로나 환자의 예후 예측 모델’을 개발‧검증했다. 이 연
▲ (좌측부터)박준용 교수, 송시영 교수, 이희승 교수, 한대훈 교수, 사진제공=세브란스병원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박준용·송시영·이희승, 간담췌외과 한대훈 교수 연구팀은 이번 연구 과정에서 제작한 간내 담관암 환자 오가노이드 모델로 유전자 변이에 따른 아형별
▲ (좌측부터)신경외과 박기수 교수, 신경과 강경훈 교수, 재활의학과 박은희 교수, 사진제공=칠곡경북대학교병원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성인 수두증 클리닉 (Adult hydrocephalus clinic) 팀은 지난 2일 기준, 치료 가능한 치매로 알려져 있는 퇴행
※전문분야: 소아안과, 사시, 약시, 신경안과, 복시, 백내장, 녹내장▲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안과 교수▲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원 박사▲미국 피츠버그 소아안과 병원 교환 교수▲마르퀴즈 후즈후 인명대사전 등재▲대한안과학회 부회장▲한국사시소아안과 학회 정회원▲대한 소아안과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양쪽 눈은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물체를 바라보는 눈의 방향이 다를 때가 있다. 바로 사시다. 사시는 주로 소아에서 많이 발견되는데, 눈동자가 돌아간 각도가 클 때는 쉽게 알아챌 수 있지만, 각도가 작거나 간헐적으로 나타날 때는
※헬스위크에서는 건강과 관련한 독자들의 궁금증을 풀어드리고 있습니다. 의료 각 분야 전문가들의 명쾌한 답을 듣고자 하시는 독자께서는 ‘기사제보’ 코너를 통해 궁금증을 남겨주세요!☞기사제보 바로가기▲ 출처=게티이미지뱅크 Q. 70대 초반의 어머니께서 약 3개월 전 골반장
▲ 선릉숲정신건강의학과 한승민 대표원장 부부치료 할 때 자주 듣는 질문 중의 하나가 “깨진 그릇을 정말 다시 고쳐서 쓸 수 있냐”는 말이다. 특히 외도를 겪은 부부에게서 이 질문은 자주 받는다.“제 배우자가 외도를 했고, 잘못했으니 뉘우치고 반성한다고 하는데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외부 활동이 늘며 자외선 노출도가 높아지는 봄철에는 멜라닌 색소가 과도하게 생성되며 기미를 비롯한 피부 색소 질환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기미는 거뭇거뭇한 인상을 주며, 한 번 생기면 자연적으로 사라지지 않고 색이 더 짙어질 수 있어 예방과 관리
▲ 사진제공=충남대학교병원 충남대학교병원은 2일 이비인후과와 산부인과의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개소식을 개최했다. 간호·간병 통합서비스는 보호자나 개인 간병인이 상주하지 않고 전문 간호인력이 기본간호부터 환자치료에 필요한 전문적인 간호서비스까지 체계적으로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많은 연구에서 비타민D 부족이나 결핍이 각종 질병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 입증됐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의 비타민D 혈중 농도는 적정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비타민D의 적정 혈중 농도는 30~100ng.ml인데, 한국인의
▲ 사진제공=세브란스병원 만성염증질환과 자가면역질환의 원인인 염증성 도움-T-17(T-helper-17, Th17) 세포가 조직 병변에서 병인성(pathogenic) 면역기능을 지속하는 기전이 규명됐다.연세대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이준용 교수 연구팀은 뉴욕대학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당뇨병의 대표적인 증상인 다뇨, 다갈, 다식이 있거나 당뇨병성 합병증이 있을 때는 당뇨병을 알아차리기 쉽고 진단도 어렵지 않다. 그러나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 기능의 감소나 인슐린 분비의 가벼운 장애가 발생하는 당뇨병 전 단계에서는 특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