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 없이 빨라진 심장박동, 뇌졸중 위험 높이는 ‘심방세동’ 의심해야

▲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심장내과 최형오 교수

심방세동은 부정맥 중에서 가장 흔하고 무서운 질환으로 알려진다. 뇌졸중 등 합병증의 위험을 높이는 심방세동에 대해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심장내과 최형오 교수와 알아봤다.

Q. 심방세동은 어떤 질환인가?
A. 심방세동은 심장의 보조 펌프인 심방이 비정상적인 전기 신호로 제대로 수축하지 못해 매우 빠르고 불규칙한 맥박을 만들어 내는 부정맥 질환이다.

Q.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
A. 심방세동 초기에는 발작성으로 증상이 짧은 시간 동안 나타났다가, 저절로 사라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가슴 두근거림, 숨이 차는 느낌, 흉부가 압박되는 증상 등을 느낄 수 있다. 심부전이 동반되면 누웠을 때 숨이 더 차거나 다리가 붓는 ‘하지 부종’ 증상이 나타난다.

심방세동이 진행하면 지속성 형태로 바뀌고 계속해서 심방세동 상태가 되지만 오히려 증상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이 경우 뚜렷한 증상 없이 우연히 건강검진 등을 통해 발견하는 경우가 많고, 이유 없는 무기력감이나 만성 피로 등을 경험하기도 한다.

Q. 발생 원인은?
A.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특히 노화와 관계가 깊으며,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판막 질환, 심부전 및 심근병증 등 심장질환이나 갑상선질환, 비만, 당뇨, 만성 폐질환, 수면 무호흡 등 심장 외 질환에서도 잘 동반된다. 기타 생활 습관 요인으로 음주, 담배 등 요인을 들 수 있다.

Q. 심방세동이 위험한 이유는?
A. 뇌졸중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이다. 심방세동 환자는 일반인보다 사지 마비, 인지기능 저하 등 심각한 신경학적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는 뇌졸중 발생 위험이 5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Q. 진단법은?
A. 일반적으로 증상이 있을 때 심전도를 측정해 진단한다. 지속성 심방세동은 증상이 없더라도 심전도를 통해 측정할 수 있지만, 발작성 심방세동은 증상이 있을 때 심전도를 시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72시간에서 최대 1주일 이상 검사가 가능한 홀터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Q. 치료는 어떻게 하나?
A. 심방세동 치료는 크게 뇌졸중 예방과 심방세동으로 인한 증상 조절로 나뉜다. 심방세동 환자는 뇌졸중 확률이 매우 높고, 나이가 많거나 동반 질환이 많을수록 발생 확률은 더 높아 뇌졸중 예방이 중요하다. 심방세동에 의한 뇌졸중 발생 위험은 환자 개개인에 따라 다르므로, 환자 나이와 동반 질환에 기반한 점수화 시스템(CHADS2-VASc)을 이용해 항응고제 치료 여부를 결정한다.

뇌졸중 예방은 몸에서 일어나는 응고 과정을 억제해 심장 내 혈전 발생을 방지하는 ‘항응고제 치료’에 기반을 둔다. 최근 항응고제 치료는 전통적인 와파린의 단점을 보완해 뇌출혈 부작용이 적은 엘리퀴스, 자렐토, 릭시아나, 다비가트란 등을 사용하고 있다. 다만, 약제 사용 시 개인 신장 기능에 따라 용량을 조절해야 하므로 지속적이고 면밀한 평가가 필요하다.

심방세동 발생 시 맥박이 빨라지고 불규칙해지기 때문에, 심장 박동수를 조절하는 항부정맥제를 사용한다. 항부정맥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불규칙한 맥이 지속되거나 발작성 증상이 재발하면 환자 상태에 따라 다른 약제를 처방할 수 있다. 그럼에도 지속적으로 맥박이 교정되지 않거나 자주 재발하면 심방세동 시술을 시행할 수 있다.

심방세동 시술은 심장 내 부정맥 원인 부위를 치료하는 근본적인 치료법이다. 양쪽 대퇴부 정맥에 전극 도자를 삽입해 고주파 에너지로 부정맥 발생 부위를 절제하는 전극 도자 절제술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약물치료보다 치료 효과가 높고, 회복이 빠르다. 시술 성공률은 약 70% 내외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냉각 풍선 절제술’이 시술 시간이 짧고 전극 도자 절제술과 동일한 심방세동 치료 성적을 보여, 환자 상태에 따라 일차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Q. 위험 요인 및 예방법은?
A. 젊고 특별한 동반 질환 없이도 과도한 음주로 인해 심방세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술은 심방세동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며, 음주량이 많아질수록 발생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흡연과 간접흡연 또한 심방세동의 악화 요인이 된다.

아울러 수면 무호흡도 심방세동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무호흡이 심할 경우 양압기 치료가 도움이 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체계적인 운동만으로 심방세동 재발 위험이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절주와 금주, 금연, 건강한 식습관과 운동 등을 통해 심방세동 발생과 재발을 줄일 수 있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훈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