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헬스위크TV
  • 뉴스
  • 건강정보
  • 인터뷰
  • 칼럼
  • 독자Q&A
  • 카드뉴스
  • 멘토클럽
UPDATA : 2025년 09월 13일
  • 전체기사
  • 헬스위크TV
  • 뉴스
  • 건강정보
  • 인터뷰
  • 칼럼
  • 독자Q&A
  • 카드뉴스
  • 멘토클럽
  • HOME
  • 전체기사

전체기사

케어닥, 인도네시아 간병 전문 교육 기관 협약 체결… “인력 영입 시스템 구축”

▲ 사진제공=케어닥 베트남, 미얀마에 이어 인도네시아 간병 전문 인력 송출 협약을 체결, 글로벌 간병 인력의 대규모 영입을 통한 간병 시장 안정화에 한층 박차를 가한다고 26일 밝혔다.케어닥은 11월 첫 주 인도네시아 주요 간병 교육 전문 기관과 인력 양성 및

뉴스 이현주 기자 2024-11-26 09:46

2030 ‘영츠하이머’ 증가... “디지털 디톡스 해볼까?”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영츠하이머, 즉 젊은 나이에 심하게 건망증과 기억력 감퇴를 겪는 이들이 늘고 있다. 이는 젊은 층 중심으로 스마트 기기 과의존이 심화되면서 치매 유사 증상을 보이는 이른바 ‘디지털 치매’ 증세를 말한다. 영츠하이머는 젊은 사람들이 마치

건강정보 이예숙 기자 2024-11-26 09:42

“조개구이 좋아하는데”... 겨울철 활개치는 ‘노로바이러스’ 주의 要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식중독은 주로 여름철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지지만,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겨울철에 발생이 증가한다. 이에 예방과 확산 방지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노로바이러스는 구토, 설사 등 급성 위장염을 일으키는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로 낮은 온도

건강정보 이현이 기자 2024-11-25 14:23

“급성심장정지 환자 이송 중 ‘목표체온치료’ 효과 있어”

▲ 사진제공=서울대학교병원 급성심장정지 회복 후 이차적 뇌손상을 예방하는 ‘목표체온치료’가 이송 중인 환자에게도 실행 가능하고 안전하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 치료법을 이송 중인 구급차 내에서 빠르게 시작하면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예후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뉴스 전훈아 기자 2024-11-25 11:35

성장기 우리 아이, ‘신체적·정신적’ 점검 必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세 살 버릇 여든 간다’는 말이 있듯, 성장기의 건강 관리는 평생 건강의 기틀을 만들어가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래서 건강검진으로 성장기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질병 상황을 미리 확인하고 위험요인을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질

건강정보 김태형 기자 2024-11-25 11:24

‘노안’의 시작을 알리는 증상은?

노안은 나이가 들면서 시력의 변화로 인해 가까운 물체를 보기 어려워지는 현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40대 중반부터 시작되며, 눈의 수정체가 탄력을 잃고 두꺼워지기 때문에 발생한다. 노안이 시작되면 어떤 증상들이 나타나는지 알아본다. 

카드뉴스 이예숙 기자 2024-11-25 08:58

[건강물음표] 하루 커피 3잔이 심혈관 질환을 예방한다?

거리에서 카페를 찾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다. 한 블럭에 카페 3~4개가 운영될 만큼 카페시장은 레드오션이다. 그만큼 수요도 많다. 하루를 커피로 시작하고, 식후 커피를 생활화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 접근성 좋은 카페는 늘 사람들로 붐빈다. 현대인과 떼려야 뗄 수 없

건강정보 이현주 기자 2024-11-22 13:55

용인세브란스병원, 눈 통한 알츠하이머병 조기 진단 기술 개발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눈에 삽입해 알츠하이머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형광 센서와 스마트폰 기반의 모니터링 기술이 개발됐다.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 안과 지용우 교수,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함승주 교수 연구팀은 최근 알츠하이머병의 조기 진단을 위한 안구

뉴스 이예숙 기자 2024-11-22 11:12

과식 방지 & 스트레스 해소... ‘마인드풀 이팅’이 뜬다!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마인드풀 이팅(mindful eating)이란 마음 챙김과 식사를 결합한 개념으로, 마음 챙김 식사를 의미한다. 이는 자신이 무엇을 먹는지를 인지하면서, 먹는 행위 그 자체와 감각에 집중하는 식사법이다. 의식을 집중해 감각을 느끼고 자신의 마음

건강정보 전훈아 기자 2024-11-22 10:36

[칼럼] 유방 종양 ‘섬유선종’, 정기적인 자가진단 중요

▲ 좋은문화병원 유방외과 황효준 과장 유방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 중 하나인 ‘섬유선종’은 20~30대 여성들 사이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유방 질환으로, 초기 진단과 관리가 중요하다. 섬유선종은 유방의 섬유와 유선조직이 여성호르몬의 자극을 받아 비정상적으로

칼럼 전훈아 기자 2024-11-22 10:10

서울대병원, 교정절골술 후 무릎 퇴행성 관절염 위험 요인 규명

▲ 사진제공=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연구팀은 단측 교정절골술(High Tibial Osteotomy, HTO)을 받은 환자에서 수술 후 무릎 관절의 정렬 상태를 평가하는 ‘관절선 수렴각’(JLCA)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 수술한 무릎뿐만 아니라 반대쪽 무

뉴스 김태형 기자 2024-11-21 11:09

[건강물음표] 2주 이상 지속되는 쉰 목소리, 원인은?

▲ 출처=게티이미지뱅크목소리는 사람의 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분으로, 누구나 호감가는 목소리를 갈망한다. 미팅, 발표, 면접 등 일상에서 목소리를 내야 하는 상황이 수두룩하다. 특히 목을 쓰는 직업의 경우 좋은 목소리가 곧 자산이다. 이러한 사람들에게 겨울은 유난히

건강정보 이현주 기자 2024-11-21 11:05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김동섭 교수

※전문분야: 뇌혈관수술, 혈관내중재시술, 뇌혈관질환(뇌동맥류, 뇌경색, 뇌출혈, 뇌혈관기형 등), 경동맥질환, 두부외상질환▲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신경외과 교수▲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학사▲대림성모병원 인턴 수료▲가톨릭중앙의료원 레지던트 수료▲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멘토클럽 이현이 기자 2024-11-21 09:55

‘머릿속 시한폭탄’ 뇌동맥류, 가족력 있다면?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뇌동맥류는 뇌동맥이 여러 원인에 의해 풍선이나 꽈리처럼 부풀어 오르는 질환이다. 부풀어 오른 뇌혈관 벽이 약해지면서 미세한 균열이 생기거나 파열을 일으켜 뇌출혈을 발생시키는 초응급질환이지만, 크기가 상당히 커지거나 파열될 때까지는 별다른

건강정보 이예숙 기자 2024-11-21 09:45

급성심장정지 주요 원인 ‘수면무호흡증’ 치료방법은?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급성심장정지 예방을 위해 수면무호흡증의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하다.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호흡이 반복적으로 멈추거나 불규칙해지는 상태로, 호흡이 일시적으로 중단되거나 얕아지는 증상은 수면의 질을 저하시킨다.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

건강정보 이현이 기자 2024-11-20 17:26

  • 66
  • 67
  • 68
  • 69
  • 70

최신기사

2025-09-12 12:16
건강정보

건강을 위해 ‘하지 않아야 할 것들’

2025-09-12 11:40
뉴스

서울부민병원 “고관절 수술환자 수혈률 절반 이상 줄여”

2025-09-12 11:35
뉴스

강북삼성병원, 과기부 ‘AI 기반 맞춤형 케어 서비스 융합 선도사업’ 선정

2025-09-12 11:34
뉴스

자생한방병원, 농민 건강 돌보기 위해 ‘한방의료봉사’ 전개

2025-09-12 11:29
건강정보

손안의 작은 세상, ‘휴대폰’ 속 세균의 위험성

전체기사인기기사

  • 1

    현대인 위협하는 ‘도파민 중독’의 그림자

  • 2

    움직일 때마다 ‘악’!... ‘고관절 통증’ 해소 방법은?

  • 3

    용인세브란스병원, 양쪽 무릎 동시 인공관절 수술 안전성·효과성 입증

  • 4

    유독 머리에만 땀이... ‘두한증’의 다양한 원인

  • 5

    여행 망치는 ‘피부 물갈이’, 원인과 해결책은?

  • 언론사소개
  • 기사제보
  • 문의하기
  • 언론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제호 : 헬스위크 | 사업자명 : NGM내가미래다(주) | 등록번호 : 서울-자 60056 | 등록일 : 2020년 09월 01일
발행인 : 김덕진ㆍ편집인 : 이현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예숙 | 발행일자 : 2020년 09월 1일
주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11길 7, C동 405, 406호 | 대표전화 : 02-6338-0338
헬스위크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Healthweek.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