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헬스위크TV
  • 뉴스
  • 건강정보
  • 인터뷰
  • 칼럼
  • 독자Q&A
  • 카드뉴스
  • 멘토클럽
UPDATA : 2025년 08월 20일
  • 전체기사
  • 헬스위크TV
  • 뉴스
  • 건강정보
  • 인터뷰
  • 칼럼
  • 독자Q&A
  • 카드뉴스
  • 멘토클럽
  • HOME
  • 전체기사

전체기사

“대사증후군, 조기 치매 ‘위험 신호’ 될 수 있어”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대사증후군을 가진 사람은 조기 치매 위험이 24%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사증후군의 다섯 가지 요소를 모두 가진 경우에는 위험이 약 70%까지 증가했다.한림대학교성심병원 신경과 이민우 교수(교신저자),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순

뉴스 김태형 기자 2025-08-06 11:21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문혜진 교수

※전문분야: 뇌전증, 수면장애, 두통▲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신경과 교수▲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서울대학교병원 인턴 및 레지던트 수료▲서울대학교병원 뇌전증집중치료센터 전임의▲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뇌과학협동과정 석사학위 취득▲계명대학교 수면의학센터 임상강사▲계명대학교병

멘토클럽 이현이 기자 2025-08-06 11:17

두 번 이상 원인 없는 ‘이것’, ‘뇌전증’ 신호일 수 있어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갑자기 의식을 잃거나 몸이 떨리는 증상이 반복된다면 단순한 피로가 아닌 ‘뇌전증’일 수 있다. 과거에는 ‘간질’이라고 불렸지만, 편견을 줄이고자 지금은 뇌전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 질환은 뇌신경 세포의 과도한 전기 활동 때문에

건강정보 이예숙 기자 2025-08-06 11:12

이대목동병원 조혜경 교수

※전문분야: 감염 질환(불명열, 결핵, 림프절염, 발진질환 등), 면역결핍 질환, 류마티스 질환, 특수예방접종, 해외여행자클리닉(해외여향 감염예방접종)▲이대목동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졸업▲이화여자대학교 의학석사▲이화여자대학교 의학박사▲소아청소년과

멘토클럽 이현주 기자 2025-08-05 15:27

[똑똑 육아] 콕콕 찍힌 물집... 여름 불청객 ‘수족구병’ 예방하려면?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여름과 가을에 발병률이 높은 수족구병은 0~6세의 영유아의 손과 발, 입 주위 혹은 입안에 수포성 발진이 일어나는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 관심 질병 통계에 따르면, 2023년 7월 수족구병 7월 환자 수는 7만 3,543명,

건강정보 이현이 기자 2025-08-05 15:19

호르몬에 맞춰 똑똑하게... 다이어트 황금기는?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많은 여성이 “생리 전만 되면 식욕이 폭발하고 몸이 붓는다”고 호소한다. 실제로 생리 주기에 따라 호르몬의 변화가 일어나고, 이로 인해 신체의 컨디션과 식욕, 대사량이 달라진다. 무턱대고 무리하게 다이어트를 하기보다는, 생리 주기에 맞춰

건강정보 전훈아 기자 2025-08-05 14:59

[신간] ‘톡톡! 우리 아이 발달 센터’

▲ 사진제공=아주대학교병원 아주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임신영 교수가 30년간의 임상 경험과 수천 건의 부모 상담 사례를 집약한 실용 육아 안내서 ‘톡톡! 우리 아이 발달 센터’를 출간했다. 이 책은 신생아부터 초등학생에 이르는 자녀를 둔 부모뿐 아니라 보육교사·

뉴스 이현이 기자 2025-08-05 14:36

술 마시면 기억 사라지는 ‘블랙아웃’, 알코올성 치매의 경고등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잦은 음주 후 ‘필름이 끊기는’ 현상, 즉 블랙아웃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단순히 술에 취해 일시적으로 벌어진 일로 치부하기 쉽지만, 이는 뇌 건강에 심각한 적신호일 수 있다. 반복되는 블랙아웃은 알코올성 치매의 전조 증상일 수

건강정보 김태형 기자 2025-08-05 11:36

“비대성 흉터, 메타오닌 제한으로 치료 가능성 열려”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팀이 화상 후유증으로 생기는 비대성 흉터(비후성 반흔) 형성의 핵심세포인 섬유아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데 성공했다.비대성 흉터는 흉터 부위가 커지고 튀어나오면서 외형적인 문제를 일으킨다. 뿐만 아니라 통증, 가려움증, 피부 당김 등으로 인

뉴스 이예숙 기자 2025-08-05 11:19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김태원 교수

※전문분야: 뇌졸중(비수술 약물치료), 신경집중치료(중환자치료)▲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신경과 교수▲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학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원 석사/박사▲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인턴 수료▲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여의도성모병원 신경과 전공의▲가톨릭대학교

멘토클럽 전훈아 기자 2025-08-05 11:16

가볍게 넘기면 위험! 여름철 고열·두통 뒤에 숨은 ‘뇌수막염’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고온다습한 여름철에는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감염성 질환 발생이 증가한다. 특히 열감기, 두통, 구토처럼 가볍게 넘기기 쉬운 증상 뒤에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중증 질환이 숨어 있을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뇌수막염’이다.뇌수막염은

건강정보 이현주 기자 2025-08-05 11:11

이대대동맥혈관병원, 세계 최단 기간 ‘대동맥 수술 2,000례’ 달성

▲ 사진제공=이대대동맥혈관병원 이대대동맥혈관병원이 진료 개시 2년 만에 대동맥 수술 2,000례를 달성했다. 대동맥 수술 2,000례 달성은 국내 의료기관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도 유래를 찾기 힘든 최단 기록이다. 이대대동맥혈관병원은 지난 7월 30일 이대서울병

뉴스 전훈아 기자 2025-08-04 13:04

자생한방병원 “파킨슨병 환자 한의치료 비율, 10년간 65.6% 증가”

▲ 출처=챗지피티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는 국내 파킨슨병 환자의 한의치료 실태와 경향을 분석한 연구 논문을 SCI(E)급 국제학술지 ‘헬스케어(Healthcare, IF=2.4)’에 게재했다고 4일 밝혔다.파킨슨병은 도파민을 분비하는 중뇌의 신경세포가 점차 소실돼 발

뉴스 이현주 기자 2025-08-04 13:01

여름철 방심하면 삐끗... 척추·관절 건강 지키는 법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여름철은 활기찬 야외 활동과 시원한 실내 생활이 공존하는 계절이지만, 동시에 척추와 관절 건강에 경고등이 켜지는 시기이기도 하다. 신나는 스포츠 활동과 수상 레저가 늘어나는 한편, 냉방기 사용으로 인한 근육 긴장이 더해지면서 근골격계 부

건강정보 이예숙 기자 2025-08-04 12:57

이대서울병원 최아름 교수

※전문분야: 위식도질환(역류성식도염, 위염, 위궤양, 식도암, 위암), 캡슐내시경, 내시경초음파, 치료내시경, 대장질환(대장용종-대장암, 염증성장질환, 기능성장질환)▲이대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박사▲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의료법학과 석사▲제주대학

멘토클럽 김태형 기자 2025-08-04 11:16

  • 1
  • 2
  • 3
  • 4
  • 5

최신기사

2025-08-20 14:26
건강정보

‘오십견’은 50대에만 올까?

2025-08-20 12:23
칼럼

[칼럼] 열대야와 여드름의 상관 관계

2025-08-20 11:45
뉴스

[강좌] ‘개원의가 알면 좋은 신경과 질환’ 개최

2025-08-20 11:39
뉴스

강원대병원, AI 기반 환자 상태악화 예측 시스템 도입... “환자 안전 강화 기대”

2025-08-20 11:36
인터뷰

나이 들수록 위험 커지는 ‘심장판막질환’

전체기사인기기사

  • 1

    1cm가 기준? 담낭 용종, 크기 커질수록 위험해져!

  • 2

    “비흡연자인데”… 여성 환자 늘어난 ‘폐암’, 14년 간 수술 환자 3배 ‘껑충’

  • 3

    [칼럼] 초기 증상 없는 두경부암, 조기 발견이 중요

  • 4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다빈치 로봇수술’ 300례 돌파

  • 5

    [기자의 눈] ‘피부 레이저’ 홍수 시대... 피부에 좋기만 할까?

  • 언론사소개
  • 기사제보
  • 문의하기
  • 언론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제호 : 헬스위크 | 사업자명 : NGM내가미래다(주) | 등록번호 : 서울-자 60056 | 등록일 : 2020년 09월 01일
발행인 : 김덕진ㆍ편집인 : 이현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예숙 | 발행일자 : 2020년 09월 1일
주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11길 7, C동 405, 406호 | 대표전화 : 02-6338-0338
헬스위크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Healthweek.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