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헬스위크TV
  • 뉴스
  • 건강정보
  • 인터뷰
  • 칼럼
  • 독자Q&A
  • 카드뉴스
  • 멘토클럽
UPDATA : 2025년 09월 23일
  • 전체기사
  • 헬스위크TV
  • 뉴스
  • 건강정보
  • 인터뷰
  • 칼럼
  • 독자Q&A
  • 카드뉴스
  • 멘토클럽
  • HOME
  • 전체기사

전체기사

췌장암·유방암 걱정이라면?... 만병의 근원 ‘내장지방’부터 관리해야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운동을 해도 잘 빠지지 않는 만병의 근원인 뱃살은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그중 내장지방은 뇌졸중, 당뇨, 고혈압 등 심혈관질환의 원인이 되므로 제대로된 관리가 필요하다. 지방세포는 에너지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역할을

건강정보 이현주 기자 2022-05-27 09:24

대웅제약, 인니서도 ‘참지마요’ 활동 전개... “삶의 질 향상 기여”

▲ 사진제공=대웅제약 대웅제약이 인도네시아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을 시작한다.대웅제약은 발달장애인의 의료환경을 개선하는 사회공헌 프로그램 ‘참지마요’를 올해부터 인도네시아로 확대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참지마요’는 발달장애인 등 ‘느린 학습

뉴스 이예숙 기자 2022-05-27 09:12

고대안암병원-광주 광산구청, 스마트 돌봄 서비스 시작

▲ 사진제공=고려대학교 안암병원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이 광주광역시 광산구청과 협력해 취약계층 대상의 스마트 돌봄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6일 밝혔다.스마트 돌봄 서비스는 중장년 등 돌봄 필요 대상자의 일상생활 패턴과 주거환경 정보, 건강 정보를 IoT 기기를 통해 매일 자

뉴스 김태형 기자 2022-05-26 17:48

[칼럼]피곤하고 건조한 몸이 보내는 신호, ‘안구 건조증’…개선법은?

▲ 강남신세계안과 오재용 대표원장 눈물은 눈을 촉촉하게 하는 것 외에도 여러 가지 역할을 한다. 눈에 필수적인 전해질을 공급하며, 박테리아를 퇴치하는 효소와 눈의 건강을 유지하는 단백질도 눈물에 들어있다. 눈물은 빠르게 안구 전체를 감싸면서 수분과 영양분을 구

칼럼 염수진 기자 2022-05-26 15:40

용인세브란스병원, 위산분비억제제 PPI 안전성 입증

▲ 사진제공=용인세브란스병원 심뇌혈관질환 유발 논쟁이 있던 PPI 약제의 안전성이 입증돼 적극적인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최동훈) 신경과 유준상 교수, 김진권 교수, 상경대학 응용통계학과 강상욱 교수, 박주영 연구원

뉴스 김태형 기자 2022-05-26 15:09

불로초 ‘영지버섯’에서 잔류농약·중금속까지 검출

▲ 사진제공=식품의약품안전처 시장과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중인 일부 영지버섯에서 허용기준을 초과한 잔류농약과 중금속이 검출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전국 주요 약령시장 내 판매업체와 온라인 쇼핑몰을 점검하고, 농·임산물 330품목을 수거·검사했다. 이번 점검에서

뉴스 이현이 기자 2022-05-26 14:11

점액성 위암 환자, 일반항암제 비해 '면역항암제' 효과 높아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차 의과학대학교 일산차병원 상부위장관외과 최윤영 교수팀이 위암의 희귀한 타입인 점액성 위암의 임상적∙분자적 특징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최 교수가 위암으로 수술 받은 환자 5089명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환자의 3%(15

뉴스 이현주 기자 2022-05-26 13:59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장대현 교수

※전문분야: 발달지연, 희귀질환, 다발성기형, 신경근육질환, 유전질환, 신생아 염색체질환, 사경, 소아재활, 근전도▲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재활의학과 부교수▲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의학유전·희귀질환센터장▲前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재활의학과 조교수▲前 서울아산병원

멘토클럽 염수진 기자 2022-05-26 11:57

대웅제약, 웨어러블 심전도기 ‘모비케어’ 임상결과 국제학술지 게재

▲ 사진제공=대웅제약 웨어러블 심전도기 ‘모비케어’의 임상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대웅제약는 웨어러블 심전도기(ECG, electrocardiogram) 모비케어를 활용한 72시간 심전도 검사의 심방세동 검출률에 대한 임상연구 결과가 최근 국제학술지

뉴스 김태형 기자 2022-05-26 11:49

먹어도 먹어도 배고픈 아이…‘프라더-윌리 증후군’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프라더-윌리 증후군(Prader-Willi syndrome)은 발달지연과 섭식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유전질환이다. 1956년 프라더(Prader), 레브라트(Labhart), 윌리(Willi)에 의해 처음 보고됐다.이 질환은 먹어도 먹어도 억제되지

건강정보 염수진 기자 2022-05-26 11:47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치, ‘심인성 뇌졸중’ 악화에 관여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치가 높으면 심인성 뇌졸중 환자의 증상 악화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신경과 남기웅 교수는 높은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치가 심장질환으로 인해 발생한 뇌졸중을 의미하는

뉴스 김태형 기자 2022-05-26 11:06

GC녹십자웰빙, '염증성 장질환' 개선 유산균주 특허 출원

▲ 사진제공=GC녹십자웰빙GC녹십자웰빙이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의 예방 및 개선 효과에 대한 유산균주 특허를 국내 출원했다고 26일 밝혔다.염증성 장질환은 비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대장에 염증이 발생해 복통, 설사, 혈

뉴스 이예숙 기자 2022-05-26 11:04

원광대학교병원 정진성 교수

※전문분야: 두통 클리닉, 뇌졸중, 뇌전증, 수면장애▲원광대병원 뇌혈관센터장▲원광대병원 신경과 부교수▲원광대병원 신경과 임상전임의▲원광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석사과정 수료▲대한두통학회 정회원▲대한뇌졸중학회 정회원▲대한뇌전증학회 정회원

멘토클럽 염수진 기자 2022-05-26 10:50

당뇨병 치료 기기 ‘인슐린주입기’... ‘막힘 알람’ 주의깊게 살펴야

▲ 사진제공=식품의약품안전처 인슐린주입기는 당뇨병 치료를 위해서 체외에서 자동으로 인슐린을 주입해 혈당을 조절하는 의료기기로 펜이나 주사기를 사용하지 않고 피하지방이 많은 부위에 2~3일간 부착해 사용하는 신체 착용 제품이다. 인슐린주입기를 사용할 때는 정확한 사용법을

뉴스 이현주 기자 2022-05-26 10:34

아플수록 긍정적으로! 낙관주의자, ‘질병’ 치료에 도움

▲ 사진제공=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낙관주의적인 성향을 보인 환자들이 질병 치료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호흡기내과 구현경 교수와 미국 연구팀이 일반인과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COPD)를 분석한 결과, 낙관주의 점수가 높을수록 호

뉴스 이예숙 기자 2022-05-26 10:11

  • 346
  • 347
  • 348
  • 349
  • 350

최신기사

2025-09-22 12:48
건강정보

[기자의 눈] ‘극단적 다이어트’에 내몰리는 10대들... 위험한 신드롬 확산

2025-09-22 11:15
뉴스

유한양행 ‘윌로펫’, 반려견 맞춤 종합 영양 보조제 7종 출시

2025-09-22 11:12
멘토클럽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강동우 교수

2025-09-22 11:04
건강정보

[세계 치매의 날] 치매, 더 이상 ‘끝’이 아니다

2025-09-22 10:53
카드뉴스

피부 탄력 높이는 생활 습관

전체기사인기기사

  • 1

    유독 머리에만 땀이... ‘두한증’의 다양한 원인

  • 2

    당신의 배는 어떤 유형?... 윗배와 아랫배, 원인과 해결책 달라

  • 3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최영희 교수

  • 4

    매일 운동해도 체중은 제자리걸음... 핵심은 OO에 있다!

  • 5

    강남베드로병원 조인제 과장

  • 언론사소개
  • 기사제보
  • 문의하기
  • 언론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제호 : 헬스위크 | 사업자명 : NGM내가미래다(주) | 등록번호 : 서울-자 60056 | 등록일 : 2020년 09월 01일
발행인 : 김덕진ㆍ편집인 : 이현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예숙 | 발행일자 : 2020년 09월 1일
주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11길 7, C동 405, 406호 | 대표전화 : 02-6338-0338
헬스위크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Healthweek.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