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매년 11월 17일은 세계 폐암의 날이다. 폐암은 무서운 암으로 꼽히는데, 이유는 낮은 생존율에 있다. 국내 사망원인이 1위는 암이며, 그중에서도 폐암은 사망률이 가장 높은 암이다. 지난해 국내 폐암 사망자는 인구 10만 명 당 36.8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초기 증상이 없고 사망률은 높아 치명적인 암으로 꼽히는 난소암은 한쪽 혹은 양쪽 난소에 생길 수 있으며, 50~70세에 가장 흔하게 발병한다. 난소암의 90% 이상이 난소 표면의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상피성 난소암이다.난소암은 유방암, 갑
▲ 사진제공=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과 주식회사 카카오브레인이 ‘흉부엑스레이 AI 진단 솔루션 개발’을 위해 공동연구계약을 맺었다.양 기관은 지난 16일 체결한 이번 계약으로 병원에서 흔히 실시하는 흉부엑스레이(Chest X-ray
겨울의 찬 기운이 느껴지는 요즘, 온도 변화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곳이 있다. 하루 아침에 뒤집어진 피부. 원인을 알 수 없는 증상에 애만 탈 뿐이다.▲ 출처=게티이미지뱅크접촉성 피부염, 모공각화증, 건선 등 피부가 변하는 데에는 다양한 원인들이 있다. 추운 날씨에 피부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차이(좌측)와 심폐소생술 시행 여부에 따른 생존율.일반인이 시행하는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과 소방청은 16일 ‘제11차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을 개최, 이같이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지난
▲경희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백명재 교수 공황장애의 평생유병률은 1~4%로 정신질환 중 높은 편에 속하는 질환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살펴보면, 공황장애로 진료를 받고 있는 환자는 2014년 9만 3천 명에서 2020년 19만 6066명으로 6년간 110% 증가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몸속 노폐물을 거르고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맞추는 신장은 적혈구를 만들고 비타민D의 활성을 담당하며,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한다. 신장은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고, 점차 기능을 잃는 경향이 있어 예방과 조기 발견
▲ 사진제공=동아제약 동아제약은 생약 성분 위운동 소화제 ‘베나치오’의 BI 및 패키지를 리뉴얼했다고 16일 밝혔다.베나치오는 이번 리뉴얼을 통해 기존 로고를 다듬어 제품의 특성을 각인시켰으며, 위운동 소화제로서의 아이덴티티를 강조했고 베나치오 라인업 제품들의
과거에는 비만을 체형쯤으로 여겼지만, 2000년대 접어들면서 비만 유병률이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건강 악화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대전을지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이준철 교수에게 비만에 대해 물었다. ▲대전을지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이준철 교수Q. 비만은 증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뼈의 양이 적어지고 질도 나빠져 골절에 취약해지는 골다공증은 합병증이 동반되지 않는 한 자각하기 어려운 질환이다. 그래서 대부분 오랫동안 방치하게 되고 결국 척추 압박골절로 키가 줄어들거나 허리가 휘고 통증이 생기는 등의 이유로 병원을
▲ 사진제공=분당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은 지난 15일 미국 실리콘밸리 소재의 정밀의학 바이오 벤처회사인 싸이퍼롬(Cipherome, Inc.)과 정밀의학 연구 플랫폼 구축을 위한 상호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날 분당서울
▲ 사진제공=광동제약 광동제약은 사내 임직원들의 마음건강 관리를 위한 ‘심리 상담 프로그램(Employee Assistant Program, EAP)’을 도입했다고 16일 밝혔다.광동제약이 도입한 심리 상담 프로그램은 직무스트레스 등 직장생활에서 발생하는 문제
※전문분야: 당뇨병, 갑상선질환, 골다공증, 기타 호르몬 이상▲이대목동병원 내분비내과 교수▲이대목동병원 당뇨센터장▲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박사▲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대한 당뇨병 학회 정회원▲대한 내분비학회 정회원▲대한 내과학회 정회원▲대한 의사협회 정회원
▲ 사진제공=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병원이 미국국립정신건강연구소(NIMH)로부터 2026년까지 약 70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초대형 한국인 우울증 유전자 연구 ‘코모젠D(KOMOGEN-D)’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코모젠D’ 프로젝트는 한국의 재발성 주요
▲ 사진제공=용인세브란스병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 피부과 조미연 교수와 강남세브란스병원 피부과 노미령 교수팀이 켈로이드 치료 시 주사 방법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통증 감소와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밝혔다.켈로이드는 피부에 흉터가 생긴 이후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