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에는 특별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음식이라 할지라도 약을 먹을 때는 주의가 필요할 수 있다. 약과 음식은 서로 맞는 궁합이 있는 반면, 함께 섭취했을 때 오히려 부작용을 일으키는 등의 상극인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 사진제공=JW중외제약 JW중외제약은 만 1세 미만 A형 혈우병 환자를 대상으로 ‘헴리브라(성분명 에미시주맙)’의 약효와 안전성을 입증한 연구 중간결과가 최근 국제학술지 ‘Blood’에 게재됐다고 13일 밝혔다.헴리브라는 혈우병 환자의 몸속에 부족한 혈액응고
최근 공장 화재 사고 현장에서 소방관 2명이 순직하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소방관 보호 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특히 소방관 10명 중 4명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수면장애 등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며 심리적 외상이 심각한 문제로 떠
▲ 출처=게티이미지뱅크손목은 사용량이 많은 신체 부위 중 하나다. 특히 골프, 테니스 등 손목을 활용한 스포츠를 즐겨 하거나 오랜 시간 컴퓨터 작업을 하는 경우 손목에 무리가 갈 수 있다. 손목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은 다양한데, 가장 잘 알려진 질환은 '손목터널증후군'
새해 계획에 빠지지 않는 것이 있다면, 바로 '다이어트'다. 다이어트는 평생의 숙제라 부를 만큼 쉽지 않다. 다이어트는 오랜 시간을 두고 건강한 방법으로 해야 뒤탈이 없지만, 단기간에 목표를 달성하고 싶은 마음에 대부분 무리하게 다이어트를 진행한다.극단적인 다이어트로
▲ 사진제공=부천시립노인전문병원 부천시립노인전문병원이 경기지역 최초로 치매안심병원으로 지정됐다.부천시립노인전문병원은 최근 보건복지부로부터 치매안심병원으로 지정받았다고 6일 밝혔다. 전국 17번째이자, 경기지역 의료기관 최초다.치매안심병원은 치매관리법에 따라 치
※전문분야: 협심증, 심근경색증, 관상동맥중재술, 말초혈관질환, 심부전, 고혈압▲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심장혈관내과 교수▲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임상강사▲가톨릭대학교 의학과 석사수료▲가톨릭중앙의료원 레지던트
※전문분야: 뇌전증, 수면장애, 실신, 뇌염, 두통, 어지럼증▲강북삼성병원 신경과 교수▲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서울대학교 협동과정 뇌과학전공 석사▲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중개의학 박사▲서울대학교병원 신경외과 진료 조교수▲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신경과 조교수 ▲공중보건의사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다가오는 명절 연휴에 그동안 밀린 잠을 자려고 계획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밀린 잠을 자는 것이 오히려 수면 패턴을 망치고 피로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수면 리듬은 인간의 생체시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수면 패턴을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설 명절 연휴에는 어디를 가든 장시간의 이동을 피할 수 없다. 비행기, 버스, 기차, 자동차 등 좁은 공간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진다. 이때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 바로 ‘심부정맥 혈전증’이다. 이를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economy cla
▲ 사진제공=신신제약 신신제약은 고함량 디클로페낙나트륨 제품인 근육통 및 관절염 치료용 첩부제 ‘디클로맥스 플라스타’를 출시했다고 6일 밝혔다.신제품 디클로맥스 플라스타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디클로페낙나트륨이 동일 면적의 기존 제품 대비 4
▲ 인천세종병원 재활의학과 김성준 과장 설 명절을 앞둔 가운데, 장거리 운전으로 인한 척추피로증후군 발생에 주의가 필요하다. 고향 방문에 앞서 척추 피로 예방법을 인천세종병원 재활의학과 김성준 과장과 함께 알아본다. Q. 척추피로증후군이란?A. 고향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췌장암 항암제의 조기 내성 발생 원리가 밝혀졌다.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임가람‧방승민, 간담췌외과 강창무 교수와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박종은 교수, 김성룡 학생 공동 연구팀은 췌장암 항암제 내성이 생기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세포 타입을 확
▲ 김안과병원 사시&소아안과센터 최다예 전문의 대표적인 소아·청소년 안질환 중 하나인 약시는 나이가 들수록 치료 성공률이 떨어지며, 약시가 치료되지 않고 남는 경우 추후 안경 또는 렌즈를 착용하거나 시력교정술을 하더라도 교정시력이 더 호전될 수
▲ 사진제공=자생한방병원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김현성 박사 연구팀은 육공단이 면역세포를 활성화해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효과를 세포실험과 동물실험을 통해 최초로 입증했다고 5일 밝혔다. 해당 논문은 SCI(E)급 국제학술지 ‘Heliyon (IF=4.0)’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