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헬스위크TV
  • 뉴스
  • 건강정보
  • 인터뷰
  • 칼럼
  • 독자Q&A
  • 카드뉴스
  • 멘토클럽
UPDATA : 2025년 11월 10일
  • 전체기사
  • 헬스위크TV
  • 뉴스
  • 건강정보
  • 인터뷰
  • 칼럼
  • 독자Q&A
  • 카드뉴스
  • 멘토클럽
  • HOME
  • 전체기사

전체기사

삼천당제약, 경구용 GLP-1(세마글루타이드) 임상 계약 체결

삼천당제약은 지난 15일 경구용 GLP-1(세마글루타이드) 임상(BE Study)을 위한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 일정이 확정됨에 따라 CRO(임상시험수탁기관)업체와 임상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이번 임상(BE Study) 제품은 일반인들에게 비만 및 당뇨치

뉴스 김태형 기자 2024-06-17 10:19

[칼럼]백내장 수술, 두 번 할 수 있을까?

▲김안과병원 망막병원 최문정 전문의백내장은 수정체의 노화로 인해 발병하는 대표적인 노인성 안질환으로 주로 60대 이상에서 많이 관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 백내장 환자의 발병 연령이 점점 낮아지면서 백내장 수술 이후 재수술이 가능한지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칼럼 이현이 기자 2024-06-17 10:15

“파킨슨병 필수 진단 검사로 초기 치매 전환 예측”[연구]

▲ 사진제공=용인세브란스병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 신경과 정석종·전민영 교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정용 교수, 이태인 학생 연구팀은 최근 연구를 통해 파킨슨병 진단 검사로 초기 치매 전환을 예측하는 바이오마커(생체 표지자)

뉴스 이현주 기자 2024-06-17 10:05

지끈지끈 욱신욱신... 다 같은 ‘두통’ 아냐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두통은 누구나 경험하는 흔한 증상이지만, 삶의 질을 떨어트리고 일상을 괴롭히는 질환이다. 그러나 두통이 자주 발생한다고 해도 방치하거나 스스로 진단하는 경우도 많은 것이 문제. 두통의 원인을 찾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건강정보 김태형 기자 2024-06-17 10:01

순천향대부천병원, ‘AI 뇌졸중 선별 솔루션’ 국내 첫 도입... “골든타임 지킨다”

▲ 사진제공=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이 국내 최초로 AI 기반의 응급 뇌졸중 선별 솔루션인 ‘휴런 스트로케어 스위트(Heuron StroCare Suite)’를 도입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에 도입한 솔루션은 3분 내 뇌출혈 및 대혈관 폐색

뉴스 전훈아 기자 2024-06-17 09:39

맛있는 밥 친구 ‘김’의 놀라운 효능

김은 대표적인 해조류 식품으로,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다. 김은 단순히 밥도둑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건강에 유익한 다양한 효능을 지닌 영양소의 보고이다. 김의 주요 효능을 알아보자.

카드뉴스 이예숙 기자 2024-06-17 09:28

[건강물음표] 노화 늦추고 살도 빠지는 '저속노화밥'은?

▲ 출처=게티이미지뱅크30대에 접어들면 신체의 변화가 느껴진다. 예전같지 않은 체력은 신체의 나이를 체감케 하고, 흔히 '나잇살'이라는 말을 실감하듯 빠지지 않는 살과의 전쟁을 하게 된다. 특히 자극적인 음식과 서구화된 식습관이 생활화되면서 20~30대 젊은층 사이에서

건강정보 이현주 기자 2024-06-14 15:39

몸속의 돌 ‘요로결석’, 여름 대표 질환인 까닭은?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소변이 지나가는 길, 신장, 요관, 방광 요도를 통틀어 요로라고 부는데, 여기에 결석이 생기는 질환이 요로결석이다. 대부분 신장에 결석이 생기는데, 이 결석이 소변이 지나가는 길을 막아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거나, 염증 혹은 신장 기능 저하 등을

건강정보 전훈아 기자 2024-06-14 15:38

난청의 이해와 보청기 사용

▲ 잠실아산이비인후과 임현우 원장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난청 환자도 꾸준히 늘고 있다. 과도한 이어폰 사용으로 젊은 층의 난청 환자도 많아지는 가운데, 난청을 해소하고 치료를 위해 보청기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잠실아산이비인후과 임현우 원장과 함께 난청의 이해와

인터뷰 이현주 기자 2024-06-14 10:32

“한국인 뇌전증 유발 유전자 단서 찾았다”[연구]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한국인에서 뇌전증을 유발하는 유전자 실마리를 찾았다. 이번 연구에 따라 한국인의 뇌전증 맞춤 치료가 가능해질 전망이다.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신경과 강훈철·김세희 교수와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최종락·이승태 교수 연구팀은 한국인 뇌전

뉴스 전훈아 기자 2024-06-14 10:20

[노인학대 예방의 날] 치매로 이어질 수 있는 ‘노인학대’... 관심 必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매년 6월 15일은 ‘노인학대 예방의 날’이다. 초고령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인학대가 계속해 증가하고 있는 실정. 노인에 대한 신체적·정서적 학대가 지속되면 가성 치매까지 나타날 수 있다. 최근 고령화로 인해 64세 이상 노인 인구수와 비

건강정보 이현이 기자 2024-06-14 09:13

의정부을지대병원, ‘은둔환자 의료지원사업 시즌2’ 엔젤병원 합류

▲ (좌측부터)빅드림 강미소 대표, 을지대의료원 윤병우 원장, KMI한국의학연구소 서형석 팀장, 헬스경향 백영민 국장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이 은둔환자 의료지원사업 시즌 2의 새로운 엔젤병원(협력병원)으로 합류했다. 의정부을지대병원은 13일 오전 은둔환자 의료지원

뉴스 전훈아 기자 2024-06-13 15:08

“사슴 태반이 암세포 죽여?”... 허위 광고 밀수업자 적발

▲ 사진제공=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 원료로 사용할 수 없는 ‘사슴 태반 줄기세포’를 함유한 캡슐제품을 불법 수입해 판매한 다단계판매원 김모 씨 등 6명을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식품위생법 및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검찰

뉴스 이현주 기자 2024-06-13 15:04

“항암 치료 시, 심장 독성 유발하는 새로운 치료 타깃 발굴”

▲ 사진제공=세브란스병원 항암 치료 약물 독소루비신(doxorubicin)이 유발하는 심장 독성의 새로운 발병 기전이 밝혀졌다.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분자생물학교실 이승현 교수,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오재원 교수, 한국식품연구원 최효경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독

뉴스 이예숙 기자 2024-06-13 12:08

[독자Q&A] 일사병과 열사병의 차이는?

※헬스위크에서는 건강과 관련한 독자들의 궁금증을 풀어드리고 있습니다. 의료 각 분야 전문가들의 명쾌한 답을 듣고자 하시는 독자께서는 ‘기사제보’ 코너를 통해 궁금증을 남겨주세요!☞기사제보 바로가기▲ 출처=게티이미지뱅크 Q. 안녕하세요? 요즘 날씨가 더워지면서

독자Q&A 이현이 기자 2024-06-13 09:45

  • 116
  • 117
  • 118
  • 119
  • 120

최신기사

2025-11-10 11:21
뉴스

[강좌] 성빈센트병원, ‘혈당은 뚝! 체중은 쏘~옥!’ 개최

2025-11-10 11:17
건강정보

수능 D-3, 막판 컨디션 관리가 ‘성패’ 좌우

2025-11-10 10:51
카드뉴스

갱년기 여성에게 나타나는 증상 4가지

2025-11-07 11:29
인터뷰

고령층 폐렴, 단순 노화로 오인하면 위험

2025-11-07 11:21
뉴스

휴메딕스, ‘엘라비에 러시아 아카데미’ 실시…러시아 진출 초읽기

전체기사인기기사

  • 1

    [기자의 눈] 불안 해소제?... 둔갑된 전문의약품, 치명적 부작용 우려

  • 2

    [칼럼] 폐렴, 단순 감기인 줄 알았다가 사망에 이르는 치명적 질환

  • 3

    [강직성척추염의 날] 움직일수록 통증 줄어... 젊은 층 위협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

  • 4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허연 교수

  • 5

    [독자Q&A] 뇌졸중 예방은 어떻게 해야 할까?

  • 언론사소개
  • 기사제보
  • 문의하기
  • 언론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제호 : 헬스위크 | 사업자명 : NGM내가미래다(주) | 등록번호 : 서울-자 60056 | 등록일 : 2020년 09월 01일
발행인 : 김덕진ㆍ편집인 : 이현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예숙 | 발행일자 : 2020년 09월 1일
주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11길 7, C동 405, 406호 | 대표전화 : 02-6338-0338
헬스위크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Healthweek.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