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헬스위크TV
  • 뉴스
  • 건강정보
  • 인터뷰
  • 칼럼
  • 독자Q&A
  • 카드뉴스
  • 멘토클럽
UPDATA : 2025년 11월 07일
  • 전체기사
  • 헬스위크TV
  • 뉴스
  • 건강정보
  • 인터뷰
  • 칼럼
  • 독자Q&A
  • 카드뉴스
  • 멘토클럽
  • HOME
  • 전체기사

전체기사

놓치면 늦는다!... ‘대장암’, 조기 발견만이 살길

▲ 출처=게티이미지뱅크대장암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쉬운 치명적인 질병이다. 최근 30~40대 젊은 층에서도 대장암 발병률이 증가하면서 정기적인 검진을 통한 예방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대장은 크게 결장과 직장으로 나뉘며, 결장암 또는 직

건강정보 김태형 기자 2025-04-16 10:20

삼성서울병원, 국내 최초 ‘관상동맥 내 쇄석술’ 시행

▲ 사진제공=삼성서울병원 삼성서울병원은 지난 14일 관상동맥 내 석회화 병변을 제거하는 최첨단 치료법인 ‘관상동맥 내 쇄석술(Coronary IntraVascular Lithotripsy, IVL)’을 국내 최초로 시행했다고 밝혔다.관상동맥 내 쇄석술은 좁아진

뉴스 이현주 기자 2025-04-15 14:00

“두경부암 발생 이끈 돌연변이 유전자 확인”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박영민 교수팀은 미국 USC(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두경부센터 Dechen Lin 교수 및 남제현 박사 등과 공동 연구팀을 꾸려 편평상피세포암종의 전암단계에서

뉴스 이예숙 기자 2025-04-15 13:53

급성 신부전, 조기 발견과 신속한 대처가 중요

▲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신장내과 김진국 교수어느 날 갑작스럽게 소변이 나오지 않는 핍뇨와 함께 오심, 구토, 식욕부진, 부종, 혈압 상승, 호흡곤란 등이 발생하면 급성 신부전을 의심해볼 수 있다. 심하면 혼수상태까지 이어질 수 있는 급성 신부전에 대해 순천향

인터뷰 김태형 기자 2025-04-15 11:59

[칼럼] 소아 안면부 열상, 신속한 치료가 흉터 줄이는 방법

▲ 좋은문화병원 성형외과 최재연 과장아이를 키우다 보면 예기치 못한 사고로 가슴을 철렁이게 되는 순간이 찾아온다. 특히 자녀의 얼굴에 상처가 생기면 부모의 걱정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최근 날씨가 따뜻해지며 야외 활동이 늘어나면서 소아 안면부 사고도 늘어남에

칼럼 이현이 기자 2025-04-15 11:45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최병윤 교수

※전문분야: 소아- 인공와우, 난청, 청각신경병증, 난청유전자검사, 선천성 외이도 폐쇄증, 성인- 난청, 인공와우, 중이임플란트, 골도보청기, 난청 유전자 검사, 만성중이염▲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분당서울대학교병원 연구기획센터장▲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서

멘토클럽 김태형 기자 2025-04-15 09:55

분당서울대병원, 한국인 유전성 난청 유전자 치료 가능성 첫 확인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최병윤 교수 연구팀(하버드대학교 김예리 연구원, 리제네론 정유진 박사, 분당서울대병원 김주앙 선임연구원)이 한국인에게 흔한 ‘OTOF 유전자 변이’ 난청의 유전자 치료 가능성을 밝힌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OT

뉴스 이예숙 기자 2025-04-15 09:45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음상훈 교수

※전문분야: 신장이식, 급/만성콩팥병, 혈액투석, 복막투석, 사구체신염, 다낭신▲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신장내과 교수▲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학사▲가톨릭중앙의료원 인턴/레지던트 수료▲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신장내과 임상강사▲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신장센터장▲가톨릭대

멘토클럽 이현주 기자 2025-04-15 09:42

소변에 거품이... 단백뇨, 신장이 보내는 건강 적신호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소변 거품이 많아지고 탁한 증상이 나타날 때, 단순한 컨디션 저하로 여기고 지나치기 쉽다. 하지만 이런 증상이 반복된다면 단백뇨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단백뇨는 신장 질환의 조기 징후일 뿐만 아니라 당뇨병, 고혈압 등 만성 전신질환의

건강정보 전훈아 기자 2025-04-15 09:36

“이중 면역항암제 병합 치료, 진행성 난소암 환자 생존율 향상에 효과”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산부인과 박준식 교수가 연세대학교 부인암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진행성 난소암 환자에서 ‘이중 면역항암제 병합 치료’의 생존율 향상 효과를 국내 다기관 임상연구(연구책임자: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 이정윤

뉴스 전훈아 기자 2025-04-14 15:06

JW중외제약,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리바로젯’ 전환요법 유효성·안전성 입증

▲ 사진제공=JW중외제약 JW중외제약은 이상지질혈증 치료제를 스타틴 단일제에서 ‘리바로젯’으로 전환한 환자의 LDL-콜레스테롤 수치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14일 밝혔다.리바로젯은 이상지질혈증을 치료하는 성분인 ‘피타바스타틴’과 ‘에제티미브’를 결합한 2제 복

뉴스 김태형 기자 2025-04-14 10:45

시간을 거스르는 지혜... ‘저속노화 식단’의 모든 것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인간은 누구나 젊고 건강하게, 오래 살기를 바란다. 과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노화 연구는 끊임없이 진보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저속노화 식단’이 자리 잡고 있다. 단순한 건강 식단을 넘어, 세포 수준에서 노화의 속도를 늦추고 활력을

건강정보 이현이 기자 2025-04-14 09:51

‘치주질환’ 예방은 이렇게!

치주질환은 잇몸과 치아 주변 조직에 염증이 생기를 질환으로, 심하면 치아를 잃을 수도 있다. 따라서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치주질환을 예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카드뉴스 이예숙 기자 2025-04-14 08:49

[건강물음표] 반복되는 심한 두통, 원인은 '모야모야병'?

▲ 출처=게티이미지뱅크원인 없이 찾아온 질환은 치료법을 찾기가 어렵다. 뇌혈관질환인 '모야모야병'이 그러하다.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워 완치 가능한 약물이나 치료법이 존재하지 않는다.모야모야병은 뇌의 주요 혈관인 내경동맥이 점점 좁아지면서 뇌에 혈류가 부족해지는

건강정보 이현주 기자 2025-04-12 13:07

유한양행, 전립선 비대장애 개선제 ‘카리포맨’ 출시

▲ 사진제공=유한양행유한양행이 전립선 비대장애 개선제 일반의약품 신제품 ‘카리포맨연질캡슐’을 오는14일 출시한다고 밝혔다. 최근 전립선 건강으로 불편을 겪는 사람들이 늘어남에 따라 전립선비대증에 따른 배뇨장애 개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전립선비대증이라고 알려진 전

뉴스 김태형 기자 2025-04-11 15:52

  • 46
  • 47
  • 48
  • 49
  • 50

최신기사

2025-11-03 11:54
칼럼

허리디스크로 오인하기 쉬운 ‘다리 저림’, 혈관성 질환 ‘하지정맥류’ 주의해야

2025-11-03 11:08
뉴스

휴온스, 1형 당뇨 수능 수험생에 ‘덱스콤 G7’ 지원

2025-11-03 11:04
뉴스

부천세종병원, ‘경피적 폐동맥판 삽입술(PPVI)’ 150례 돌파

2025-11-03 11:00
건강정보

반려식물, ‘초록빛 치유’가 주는 건강한 활력

2025-11-03 10:46
카드뉴스

땅속 슈퍼푸드 ‘고구마’의 五色 매력

전체기사인기기사

  • 1

    [칼럼] 폐렴, 단순 감기인 줄 알았다가 사망에 이르는 치명적 질환

  • 2

    [강직성척추염의 날] 움직일수록 통증 줄어... 젊은 층 위협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

  • 3

    게으름 아닌 질환... 청소년기 ‘특발성 과다수면증’ 주의보

  • 4

    지씨셀, 중국 IASO사 CAR-T 치료제 국내 도입 계약 체결

  • 5

    [독자Q&A] 뇌졸중 예방은 어떻게 해야 할까?

  • 언론사소개
  • 기사제보
  • 문의하기
  • 언론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제호 : 헬스위크 | 사업자명 : NGM내가미래다(주) | 등록번호 : 서울-자 60056 | 등록일 : 2020년 09월 01일
발행인 : 김덕진ㆍ편집인 : 이현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예숙 | 발행일자 : 2020년 09월 1일
주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11길 7, C동 405, 406호 | 대표전화 : 02-6338-0338
헬스위크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Healthweek.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