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제약이 다중 표적 복막암 형광 진단 및 치료장치에 관한 특허를 취득했다고 27일 밝혔다.이번 특허는 복막 내에 흩어져 있는 복수의 종양 위치와 혈관 분포 등을 레이저로 진단하고, 진단된 부위를 레이저로 조사하여 빠르게 치료할 수 있는 진단∙의료기기에 대한 것이다.
▲ 사진제공=동아제약 동아제약은 흉터 치료제 ‘노스카나겔’의 TV 광고를 내달 1일 온에어 한다고 밝혔다.노스카나 신규 TV광고는 노스카나겔로 여드름 흉터를 깨끗하게 관리해서 피부에 대한 자신감을 찾을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기획됐다.이번 광고에는 2019년
▲ 사진제공=대웅제약 대웅제약의 신약개발 전문 자회사 아이엔테라퓨틱스는 지난 26일 서울 삼성동 대웅제약 신관 베어홀에서 제1회 이온 채널 뉴로사이언스(Ion Channel-Neuroscience) 신약개발 심포지엄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7일 밝혔다.이번 심포지엄은
▲ 사진=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하정훈 교수(좌측), 혈액내과 박성수 교수조혈모세포이식환자의 당뇨병 발생 위험이 2.0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하정훈 교수(공동 제1저자), 혈액내과 박성수 교수(공동 교신저자) 연구팀이 국내 8,
▲ 사진제공=조아제약 조아제약이 최근 인도네시아 식약청의 허가 등록을 마친 건강기능식품을 현지에 수출했다고 25일 밝혔다.'뽀로로 비타민C'와 '홍삼 최고'는 자카르타에 위치한 약국과 프리미엄 마트 등에 입점됐으며, '잘크톤 스텝1·2(이하 잘크톤 시리즈)'는 오는 2
▲ 사진제공=GC녹십자 GC녹십자는 목암생명과학연구소와 함께 서울대학교 AI 연구원과 AI 신약 연구 플랫폼 구축을 위한 공동연구 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협약을 통해 양측은 각종 AI 알고리즘을 이용한 ‘신약 후보물질 발굴 및 질병 관련 유전체·단백질 연구 플
▲ 사진제공=서울대학교병원 표준항암치료제와 면역항암제를 병용해 새로운 표준 치료를 제시한 첫 번째 글로벌 3상 임상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되면서, 수술이 불가능한 진행성 담도암의 표준 치료법이 10여 년 만에 바뀔 것으로 기대된다. 새로운 치료법은 표준항암치료제에 비해
▲ 사진제공=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를 카카오맵을 통해 공개, 누구나 손쉽게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카카오는 심사평가원의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병원의 의료서비스 우수병원 평가결과를 카카오캡에 공개하고, 주소
▲ 사진제공=삼성서울병원 삼성서울병원은 몸무게 1,760g에 불과한 저체중 출생아의 선천성 동맥관개존증 비수술적 폐쇄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국내에서 해당 방법으로 시술에 성공 사례 중 ‘가장 작은 아이’며, 시술은 소아청소년과 장윤실, 송진영 교수팀이 맡았다. 선천성
▲ 사진=(좌측부터)현대약품 한생액, 일동제약 비오비타 우리가족 맑을청 맥문동, 광동제약 광동탕엠액. 추운 겨울 날씨에 오미크론 변이까지 빠른 속도로 국내에 퍼지며 감기 등 호흡기 질환에 관한 주의보가 내려졌다. 이에 제약업계에서는 호흡기 건강을 위한 약 또는 건강식
▲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유방외과 강영준 교수 코로나19 대유행이 유방암의 진단과 치료에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코로나19로 환자들의 병원 방문이 줄면서 유방암 선별검사와 진단 환자, 수술 건수는 모두 감소한 반면, 유방암이 진행된 상태로 진단된 환자
▲ 사진제공=대웅제약 대웅제약의 고혈압·이상지질혈증 치료제 ‘올로맥스’의 임상 연구가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대웅제약은 올메사르탄, 암로디핀 그리고 로수바스타틴 복합제인 올로맥스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연구가 SCI급 국제학술지인 Journal of Clinical
▲ 사진제공=보령제약 보령제약이 다국적 제약사인 알미랄과 세계 최초 스프레이 제형 피나스테리드 탈모약인 ‘핀쥬베(Finjuve)’에 대한 국내판권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보령제약은 핀쥬베에 대한 국내 독점 판매권을 보유하게 된다. 핀쥬베는 지난 2020년
▲ 사진제공=진캐스트 진캐스트는 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이상협 교수팀과 함께 췌장암 진단 기술 개발을 위한 임상 연구를 시작한다고 24일 밝혔다.이번 연구는 진캐스트의 원천 기술인 ADPS 기술을 고도화한 Massive Multiplex ADPS 기술을 이용해 혈액
발치, 특히 사랑니 발치 통증은 치과 치료를 망설이게 하는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다. 이에 발치가 불가피한 상황임에도 통증에 대한 두려움으로 치료를 기피하는 경우가 종종 생기는데,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줄 만큼 심한 사례도 있다. 이런 발치 통증을 효과적으로 줄일 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