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제공=동아대학교병원 동아대학교병원이 중증환자를 전담 치료하는 코로나19 중증 병동을 개설했다. 중증병동은 중증환자병상 16병상, 준증증환자병상 14병상을 갖추고 있다. 동아대병원은 기존에 일반중환자실의 음압격리실(ICU) 3병상과 뇌졸중 집중치료실(SCU) 8병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12월 4주부터 확진자 발생 규모가 감소세로 전환하고 있다. 다만 정부는 일상회복을 시작하기에는 여전히 위험요인이 상존한다는 입장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7일 주요 지자체 코로나19 현황 및 조치사항 등을 논의하고 이같이 밝혔다. 정부
▲ 사진제공=부광약품 부광약품은 듀폰 다니스코(Dupont Danisco Probiotics) 유산균을 원료로 해 보장균수 100억의 프리미엄 유산균 BK포스트바이오틱스를 출시했다고 7일 밝혔다. BK포스트바이오틱스는 1세대 유산균인 장내 유익균 프로바이오틱스와 2세대
▲ 전북대병원 영상의학과 김건영교수전북대학교병원이 방사성물질을 이용한 간암 치료법인 동맥경유 방사선색전술(TARE:TransArterial RadioEmbolization)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고 6일 밝혔다.TARE는 방사성동위원소가 함유된 방사선 미세 방출구를 간종
▲ 사진제공=현대약품 현대약품이 벤지다민염산염 성분을 함유한 가글형 구내염 및 인두염 치료제 ‘이바프텐액’을 출시했다. 이바프텐액’은 구내염을 비롯해 잇몸염과 인두염, 편도염 등 구내와 인후에 폭넓게 사용하기 좋은 제품이다.주성분으로 함유된 벤지다민염산염은 치과나 이비
▲ 사진제공=한양대학교병원 한양대학교병원과 한국장기조직기증원(KODA)은 장기이식 의료분야의 공동발전을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한양대학교병원과 한국장기조직기증원은 이번 협약을 통해 적극적인 뇌사 추정자 발굴과 관리, 뇌사 추정자 발생 시 신속한 연락 체계 구축, 뇌
▲ 사진제공=LG화학 LG화학은 미국 면역항암제 개발 파트너사인 큐바이오파마(Cue Biopharma)가 최근 ‘CUE-102’ 전임상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임상 개발 단계 진입을 위한 최종 후보물질을 선정했다고 6일 밝혔다.CUE-102는 각종 고형암 및 혈액암 세포에
▲ 사진제공=미쁨생활건강 미쁨생활건강이 신제품 ‘데일리 멀티팩4’를 신규 론칭했다고 6일 밝혔다.‘데일리 멀티팩4’는 비타민과 미네랄, 오메가3, 루테인 등을 한 팩으로 구성, 인체에 도움을 주는 25가지 영양성분을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올인
▲ 사진제공=대웅제약 대웅제약이 엑소좀 치료제로 신약개발 영역을 확장한다.대웅제은 지난 5일 삼성동 본사에서 바이오 벤처 엑소스템텍과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치료제 공동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대웅제약은 엑소스템텍과 함께 차세대 엑
▲ 사진제공=강남베드로병원 강남베드로병원이 보건복지부 ‘3주기 의료기관 인증’을 획득했다. 강남베드로병원은 이번 3주기 인증 획득으로 2025년 12월 5일까지 ‘인증 의료기관’의 자격을 유지하게 된다.보건복지부의 의료기관 인증평가는 병원급 의료기관이 환자의 안전과 의
한미약품이 자사 항암 혁신신약 ‘포지오티닙’과 ‘롤론티스’를 개발중인 스펙트럼에 240억원 규모의 전략적 지분투자를 단행했다. 한미약품은 스펙트럼이 개발중인 2종의 혁신 항암신약에 대한 확장된 미래가치를 선점하고, 파트너사와의 공고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1주당
▲ 사진제공=아이쿱 아이쿱이 국제표준화기구(ISO)로부터 정보보안경영시스템(ISO 27001), 보건의료정보보호경영시스템(ISO 27799), 클라우드 정보보안경영시스템(ISO 27017) 인증을 동시에 취득했다고 5일 밝혔다.ISO 27001은 정보 보호 경영을 위해
▲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암병원 송교영 교수(좌측)와 성빈센트병원 위장관외과 박기범 교수전체 암 발생건수의 11.6%를 차지하는 위암 환자는 위절제술을 받은 뒤 칼슘흡수 기능이 널어져 골다공증을 앓기 쉬워진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암병원 위암센터(위장관외과) 송교영(
▲ 사진제공=동아대학교병원 동아대학교병원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극희귀질환 및 상세불명 희귀질환자, 기타염색체이상질환자의 산정특례 진단요양기관’ 공모에 선정됐다. 동아대병원은 지난 2019년 6월부터 어린이센터와 유방센터 환자를 대상으로 유전자상담클리닉을 운영해왔으며,
▲ 사진제공=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알레르기면역연구소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알레르기면역연구소가 COVID-19 항원을 발현하는 장내미생물을 이용한 경구형 백신기술 개발에 성공했다.연구팀은 기존 COVID-19 백신과 차별화해 근육주사가 아닌 경구투여로 손쉽게 면역반응을 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