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끗한 발목, ‘괜찮겠지’ 방치하면 ‘만성 불안정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푹푹 찌는 여름철, 야외활동이 늘어나면서 발목불안정증 환자가 부쩍 늘고 있다. 가볍게 신는 샌들이나 슬리퍼, 혹은 등산이나 수상 스포츠를 즐기다가 발목을 삐끗하는 경우가 잦아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잠깐 삔 것’이라며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순간, 만성적인 발목불안정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여름철 발목이 쉽게 다치는 이유는 우리의 생활환경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샌들이나 슬리퍼는 발목을 제대로 지지해주지 못해 발목 균형을 쉽게 무너뜨리는데, 특히 울퉁불퉁한 지면에서는 발목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가해져 부상 위험이 커진다.

또 더위로 인해 몸이 쉽게 지치고 근육이 이완되면서 관절 지지력이 약해지는데, 이 상태에서 무리하게 활동하면 사소한 움직임에도 발목이 접질릴 수 있다.

발목불안정증은 외부 충격이나 반복적인 염좌로 인해 발목 인대가 느슨해져 관절이 쉽게 꺾이는 질환이다. 평지를 걷거나 계단을 오를 때도 발목이 자주 접히고 통증이 지속된다면 발목불안정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이런 증상을 방치하면 관절 연골 손상이나 관절염으로까지 진행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건강한 발목을 유지하고 싶다면 꾸준한 관리와 올바른 대처가 중요하다. 야외활동을 하기 전후에는 발목 근육을 풀어주는 스트레칭을 충분히 해주는 것이 좋다. 발목 근력을 키우는 운동은 부상 예방에 도움이 되므로, 발끝으로 서기, 한 발로 서기 등 간단한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도 필요하다.

또 평소 발목을 자주 삐끗한다면 운동 중 발목 보호대를 착용하거나, 뒤꿈치를 단단히 잡아 주는 편안한 운동화는 신는 것이 좋고, 만약 발목을 접질렸다면 Protection(보호), Rest(안정), Ice(냉찜질), Compression(압박), Elevation(거상)의 순서로 응급처치를 해주면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된다.

발목불안정증은 단순히 ‘자주 접질리는 증상’에 그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여름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온전히 즐기기 위해, 지금부터라도 발목 건강을 챙겨보는 것은 어떨까?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훈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