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름과 가을에 발병률이 높은 수족구병은 0~6세의 영유아의 손과 발, 입 주위 혹은 입안에 수포성 발진이 일어나는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 관심 질병 통계에 따르면, 2023년 7월 수족구병 7월 환자 수는 7만 3,543명, 지난해 7월에는 15만 2,437명으로 여름철에 많은 환자가 발생한다.
수족구병은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감염질환으로 주로 6세 이하의 어린 소아들에게 자주 발생한다. 또한, 수족구병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뿐만 아니라, 문화센터, 키즈카페 등 여러 명의 아이들과 접촉이 잦은 환경에서 유행하는 특성을 보인다.
수족구병은 일반적으로 사람 간의 접촉에 의해 전파된다. 수족구병의 주요 감염경로는 손 또는 감염된 사람의 코와 목, 입을 통해 나오는 호흡기 분비물과 직접 닿거나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건의 표면을 접촉할 때 감염될 수 있다.

수족구병의 전형적인 증상은 손, 발, 엉덩이에 나타나는 붉은 반점 형태의 수포성 발진과 입안의 물집이다. 이와 함께 발열, 인후통, 침 흘림, 식욕부진, 피로감 등이 동반될 수 있다. 특히 입안의 물집은 통증을 유발해 아이가 음식이나 물을 제대로 섭취하지 못하게 만들고, 심할 경우 탈수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아이의 소변 횟수 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수족구병은 아직 예방백신이나 효과적인 치료제가 없어,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켜 감염을 차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엔테로바이러스는 대변을 통해 배출되므로 아이의 기저귀를 갈거나 화장실을 이용한 후에는 반드시 흐르는 물에 비누를 이용하거나 알코올 손소독제를 이용하여 손을 씻는 습관이 필요하다.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에서 아이들이 직접 접촉하는 공용 장난감, 놀이기구 등의 물품은 자주 세척하면 수족구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
만약 아이가 수족구병 의심 증상을 보이면,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을 취하게 하고, 평소와 다르게 무기력하거나 처지는 증상을 보일 경우 합병증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전문가의 진료를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현이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