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물음표] 약도 안듣는'저항성 고혈압'...'이것' 주의해야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국내 고혈압 환자 수는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11월 대한고혈압학회에서 발표한 '2022 고혈압 팩트시트'에 따르면 국내 20세 이상 성인의 고혈압 유병률은 29.4%로, 고혈압 환자는 1260만 명에 달한다. 나이가 많을수록 고혈압 유병률은 높게 나타나지만, 최근 들어서는 중장년층에 집중됐던 고혈압 환자가 젊은층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상태를 말한다. 대부분 초기 증상이 없어 방치하게 되지만, 고혈압을 초기에 관리하지 않으면 뇌졸중, 협심증, 심근경색증, 심부전증, 중풍, 안구질환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적어도 1~2년에 한 번 혈압 측정이 권장되는 이유다.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고혈압은 혈압약 복용과 생활 관리로 개선이 가능하다. 고혈압약은 한 번 먹으면 평생 먹어야 한다는 인식 때문에 약 복용을 기피하는 환자들도 있다. 하지만 고혈압약 복용 시 합병증 발병률을 절반 이상 낮출 수 있다. 또 혈압이 정상화되면 약을 줄이거나 중단하기도 한다.


혈압약 복용으로 고혈압 관리가 가능한 상황은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다만 약이 듣지 않는 '저항성 고혈압'은 몸 속 시한폭탄과도 같다. 이뇨제 등 3가지 이상의 혈압약을 복용해도 혈압이 떨어지지 않는 경우를 '저항성 고혈압'이라 한다. 이 때는 일반 고혈압에 비해 합병증 위험이 훨씬 높아지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국내 고혈압 환자의 10%가 저항성 고혈압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저항성 고혈압은 수면무호흡증과도 연관이 있다. 수면무호흡증이 저산소증을 일으키면 혈압이 계속해서 올라간다. 수면무호흡증은 혈압약을 복용해도 혈압이 잘 떨어지지 않는 원인일 수 있다.

또 다른 원인으로 비만이 꼽힌다. 과체중인 사람은 정상체중인 사람에 비해 혈압 수치가 높게 나타난다. 체중 1kg을 감량하면 혈압 1mmHg이 낮아진다. 특히 비만은 수면무호흡증의 원인이 되기에, 건강을 위해 체중 조절은 불가피한 선택이라 할 수 있다.

짜게 먹는 식습관도 문제가 된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대부분 염분이 많은 자극적인 음식에 길들여져 있다. 우리나라 국민 평균 소금 섭취량은 약 12g 정도로, 세계보건기구(WHO) 권고량인 5g의 약 2.5배에 달한다. 소금의 나트륨 성분은 혈압을 높이기 때문에 적정량 이상으로 섭취하는 것은 건강에 좋지 않다. 소금 섭취를 반으로 줄이면 혈압 6mmHg을 낮출 수 있다. 또 칼슘, 칼륨 섭취는 나트륨 흡수를 막아 고혈압 예방에 도움이 된다.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이 밖에 혈압 상승을 야기하는 카페인 및 알코올 섭취를 줄이고, 흡연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 꾸준한 운동과 스트레스 관리는 물론,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해 건강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항성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올바른 생활습관과 약물 복용을 통해 몸 속 시한폭탄이 커지지 않도록 미리 예방해야 한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현주 기자 다른기사보기